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단 현장에서 병원체 고감도 검출하는 나노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03
이를 통해 간섭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했다. 또 OPE 화합물의 구조를 변경해 센서
표면
특성을 바꿔 다양한 임상 샘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센서로 혈액 샘플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대장균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센서 수용체만 바꿔주면 다른 박테리아를 ... ...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안 교수팀은 얼음
표면
에서 친수성 고분자의
표면
작용기가 결합과 해리를 반복하면 얼음 성장이 촉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친수성 고분자의 농도를 조절하면 그 속도를 최대 3배까지 빠르게 만들거나 절반 이하 수준으로 느리게 할 수도 있었다. 지금까지 ... ...
버려지는 나무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원료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화합물이다. 수소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지구
표면
의 70%를 덮고 있는 아주 흔한 원소로 액체나 고압 기체로 저장이 가능하다. 온실가스와 같은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수소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탄소와 같은 지구 온난화 물질이 나온다는 점, 공정 중 ... ...
세 가지 정보 동시에 보는 '메타 디스플레이' 개발…'맞춤형 VR 수업'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노준석 교수는 “근거리장과 원거리장의 빛을 동시에 조절하지 못했던 기존 메타
표면
의 한계를 뛰어넘은 성과”라며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보안 장치나 교수와 학생이 각각 다른 화면을 볼 수 있는 맞춤형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 화성에 운석 충돌...규모 4 지진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포세' 땅속에 마그마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MRO는 충돌구 주변에서는 화성
표면
아래 있던 바위 크기의 얼음덩어리를 발견했다. 운석이 충돌한 곳은 화성에서 가장 따뜻한 적도 인근으로 얼음덩어리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NASA는 28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지하의 얼음은 향후 화성에 ... ...
[과기원은 지금] '2022 GIST 과학문화주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같은 구조를 통해 액체 방울이나 특정한 자기조립체로 조직화가 가능하다. 또 종횡비와
표면
양친매성의 조절을 통해 곡면, 주름, 원통형 등의 구조를 선택하고 자기조립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손재성 교수는 "이 나노 계면활성제는 기존 공 모양이나 아령 형상에서 구현이 불가능했던 더 ... ...
마구 변형해도 전기 통하는 신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응용할 수 있다. 존 앤더슨 미국 시카고대 화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전자장치의
표면
에 스프레이로 뿌리거나 페인트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
코로나 변이 거듭될수록 효과 커지는 치료제 후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전망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듭하며 감염력이 점점 증가하는 이유는 세포
표면
단백질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hACE2)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이 강해지도록 구조를 바꾸며 진화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바이러스와 hACE2 수용체 사이의 결합주요부위(핫스팟) 상호작용 원리를 모방해 세포 ... ...
물 속에서 움직이는 초소형 수상 로봇 구동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하이드로젤 특성상 효율적으로 전기 자극을 가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하이드로젤
표면
에 금나노입자로 전극층을 균일하게 코팅해 전기전도도를 높였다. 또 하이드로젤의 수축현상을 활용, 전극층의 주름 구조를 유도해 기계적 신축성을 확보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하이드로젤 내부에 자기장을 ... ...
암세포의 면역세포 회피 억제해 암 치료 효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5
회피하는 과정을 억제하는 면역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암세포는 세포
표면
에 면역관문 단백질(PD-L1)을 과발현한 뒤 면역세포인 독성 T세포와 상호작용하도록 해 T세포가 암세포를 인지하더라도 암세포를 공격할 수 없게 만든다. 제약사에서는 암세포의 면역관문 단백질과 독성 T-세포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