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뉴스
"
속
"(으)로 총 10,649건 검색되었습니다.
3만 년 만에 깨어난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그는 “기후변화로 사람들이 점점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땅을 파헤치며 개발하며 만든 땅
속
생태계 교란이 더 큰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으므로 잠재적 위협에 대비해야할 것”고 경고했다 ... ...
샤넬 No.5는 염소 페로몬에서 영감을 받은 향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작용하는지 여부를 측정했다. 즉 추출물의 냄새를 맡은 암염소의 뇌
속
시상하부에 있는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파동적 분비 패턴의 변화를 측정한 것. 시상하부는 내분비계를 조절하는 지휘본부다. 만일 프라이머페로몬이라면 이 분비 패턴의 주기가 짧아져 암컷이 짝짓기를 준비할 수 ... ...
개미의 영역 전쟁은 화학戰?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쉽도록 만든 미세구조인 양자우물에 레이저 펄스를 쏘아 ‘물방울’처럼 서로를 구
속
하는 드롭리톤을 찾아낼 수 있었다. 4개 이상의 전자와 정공(hole)이 입자의 전하로 인한 쿨롱인력을 통해 작은 방울을 형성할 때 드롭리톤이 나타난 것이다. 비록 드롭리톤의 발견이 당장 실용화로 이어지긴 ... ...
총에 맞아도 15초면 지혈 끝!
과학동아
l
2014.02.28
특수 스펀지 엑스타트 - RevMedx 제공 영화
속
주인공이 총을 맞고 쓰러진다. 옆에 있던 동료가 옷감을 찢어서 감아주며 흘러나오는 피를 막으려고 애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주인공은 장렬히 죽고 만다. 이런 일이 오늘도 전쟁터에서는 비일비재하다.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와 레프메덱스 사 ... ...
육식공룡이 채식? 통념 뒤집는 공룡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14.02.28
‘아시아의 티라노사우루스’라고 불리는 타르보사우루스류의 복늑골(배 부분의 뼈)
속
에서도 위석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 관장은 “위석을 갖고 있는 거대 육식공룡 화석은 아직 보고된 적이 없는 만큼 수각류의 진화과정을 추정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식성뿐만 ... ...
'유령입자' 드디어 정체 드러내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일본 중성미자 검출기 '슈퍼-카미오칸데 - 도쿄대 제공 지난해 말 남극 빙하
속
에 만들어진 세계 최대 중성미자 검출기 ‘아이스큐브’에서 중성미자 28개를 검 ...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중성미자의 상호작용 효과가 얼마나 큰지 후
속
연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 ...
우리나라 세균 신종등록 '금메달' 감이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되지 않아 명확히 종을 구분하기 어려운 세균의 정의를 보완하고 배양이 어려운 흙
속
대부분 세균의 DNA를 직접 뽑아내는 ‘메타게놈’ 연구를 해나가는 방식으로 신종 세균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실렸다. 스위스와 독일, 일본, 미국의 공동연구자들이 밝혀낸 박테리아는 엔토쎄오넬라
속
(Entotheonella) 두 종으로 각각 게놈 크기가 900만 염기가 넘는다. 박테리아 게놈으로는 꽤 큰 편이다(대장균은 450만 염기). 연구자들은 이들의 게놈 가운데 상당 부분이 복잡한 분자를 만드는데 관여하는 효소들의 ... ...
[청년드림]“누가 ‘왕관’ 씌워주지 않아… 꿈을 당차게 말하라”
동아일보
l
2014.02.25
올해는 단독 대표가 됐다. 2005년에는 차장에서 부장을 건너뛰고 상무보가 되는 등 초고
속
승진을 거듭했다. 그는 “‘여기서 승부를 보겠다’고 생각하니 매일 오전 5시에 출근해 자정을 넘길 정도로 일하게 되더라”며 “실적이 따라왔고 이는 치열한 경쟁에서 나를 지켜주는 방패막이가 됐다”고 ... ...
입
속
세균, 1000년 전과 다를 바 없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4
종류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놀라운 것은 1000년 전에 입
속
에 살았던 미생물 중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종류가 이미 존재했다는 것. 인류가 만든 첫 항생제는 1940년이 돼서야 역사에 등장했다. 미생물은 항생제가 발명되기 이전부터 이미 항생제 내성을 갖고 있었다는 ... ...
이전
979
980
981
982
983
984
985
986
9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