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보그 곤충 군대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시스템을 집어넣은 뒤 나중에 곤충들을 원격조정 하는 계획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곤충 몸속에 특별한 마이크로전자기계시스템(MEMS)을 심으면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고 폭발물에 있는 특정 화학물질을 감지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옥스퍼드대 자연사박물관의 조지 ... ...
명왕성의 세 위성은 형제자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마지막 행성인 명왕성의 세 위성이 형제자매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세 위성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그 색깔이 같았다고 밝혔다. 세 위성은 같은 공전 궤도면을 따라 명왕성 주위를 돌고 있다. 이것은 40억 년 전 명왕성이 자신의 크기와 ... ...
귀뚜라미의 골육상쟁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귀뚜라미가 골육상쟁을 벌이면서까지 무리지어 이동하는 것은 먹이 때문이라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이들은 탄수화물보다 단백질과 소금을 더 좋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연구팀은 각각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든 음식 접시를 귀뚜라미가 이동하는 통로에 놔뒀다. 귀뚜라미는 ... ...
암세포 자살 유도하는 고추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암에 걸린 쥐에게 캡사이신을 주입했더니 보통 쥐보다 암세포보다 20% 정도 줄어들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체다-신내 메디컬센터의 필립 퀘플러와 연구팀은 캡사이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실에서 인간의 전립선 암세포를 고추성분과 반응시켰다. 그 결과 암세포의 증식 속도가 놀랄 정도로 ... ...
신출귀몰 조류 인플루엔자(AI)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點土狀)을 이루며 전자현미경하에서는 부정형 박막상(不定形薄膜狀)의 형태를 가진다
미국
의 동물학자 E O 윌슨이 1971년에 제창하고, 75년 동명의 저서로 전개한 학문체계 종래 별개로 추진되어온 개체군생태학·집단유전학·동물행동학, 동물사회의 비교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각종 생물이 왜 각기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매우 클 것이다. 예를 들어 정밀작업을 해야 하는 로봇 중장비에 활용할 수 있다.일본이
미국
하와이 마우나케아에 건설한 스바루 천문대는 그들의 힘을 보여준다. 구경 8.2m의 대형망원경이 설치된 이 천문대에는 거의 날마다 낮에 일본인들이 방문한다. 천문대의 관측실 천장에는 일본 각지의 ... ...
무엇이든 만드는 만능인쇄시대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당시
미국
CNN은 세상을 바꿀 5대 기술 중 하나로 ‘생체조직 프린터’를 선정했다.2004년
미국
MIT의 바칸티 교수팀은 쥐에 사람 귀 모양의 틀(스캐폴드)을 붙인 뒤 이를 실제 사람 귀로 성장시키는데 성공했다. 이 때 스캐폴드에 세포를 뿌리는데 사용된 방법은 잉크젯 프린팅 기술이었다.지난해 영국 ... ...
IBM 해결사 출두요~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교통 시스템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IBM이 해결한 문제는 비단 교통 체증만이 아니다.
미국
의 산불 예방에 필요한 소방 인력 수요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했고, 리무진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스케줄을 내놨을 뿐 아니라 고객의 주문 패턴과 재고 현황을 분석해 최적의 재고 수준을 유지하는 ... ...
우주서 빙글빙글 초대형 바람개비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우리은하 같은 나선은하다.바람개비를 빙그르르 돌릴 만한 바람이 살랑대는 봄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봄을 앞둔 지난 2월 28일 바람개비를 닮은 나선은하 M101의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공개했다. 여태까지 발표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 가운데 나선은하의 진면목을 가장 세밀하게 보여주는 ... ...
한 길 사람 속, 이제 단면으로 본다 절단영상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의과대학 학생과 의사가 해부학을 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2003년 아주대 의대에서
미국
보다 더 좋은 연속절단기와 높은 해상도의 디지털사진기를 써서 연속절단면영상을 만들었다. 이것은 소프트웨어로 제작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아주대 의대 맨눈해부학실험실 ... ...
이전
980
981
982
983
984
985
986
987
9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