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05
약해져 온도가 약간만 올라가도 자석의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실제로 이 정도의 기록
밀도
에서 동작하는 HDD 내부 온도는 약 1백℃까지 올라가게 돼 매우 난감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은 크기에서도 안정성이 좋은 영구자석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자기기록의 미래에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 ...
Ⅲ. 키 큰 나무에서 배우 고층 건축
과학동아
l
199905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안을 들여다본다.인간의 하늘을 향한 상승욕구와 도심지의 인구
밀도
증가로 인해 자연스럽게 건물은 수직적으로 상승한다. 특히 서울과 같이 제한된 땅에서 고층 건물을 짓는 것은 경제적일 뿐 아니라 시대의 축적된 부를 과시하는 상징이기도 하다. 또한 인간은 종교적인 ... ...
컴퓨터 회로 1백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904
연구팀은 전자 오비탈이라는 5번째 요인이 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전자
밀도
에 따라 에너지의 흐름 속도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큰 덩어리의 물질을 작게 쪼갬으로써 회로의 크기를 줄이는 현재의 접근법은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린세이는 “수십년 내에 컴퓨터 회로는 ... ...
① 빅뱅우주론에서 인플레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904
우주의 시간을 거꾸로 돌리면 모든 물질(은하와 별)이 한 점에 모이는 초고온 초
밀도
의 특이점이 생긴다. 즉 물리학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벌어지는데, 납득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1948년 ‘정상우주론’(steady state cos-mology)을 들고 나왔다.정상우주론에서는 우주가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904
있다. 하지만 양성자나 중성자 같은 중입자(baryon)로 만들어진 빛나는 천체들의 평균
밀도
는 겨우 ${Ω}_{0}$≃0.04±0.01에 불과하다. 이것은 우리 눈에 밝게 보이는 은하들은 이 우주에 ‘있어야 하는’ 질량의 10%가 채 되지 않음을 뜻한다. 결국 거의 소경이나 진배없는 천문학자들이 우주를 바라보며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04
매우 높은 압력에 의해 여기되면서 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목성에서는 태양풍의
밀도
가 지구의 25분의 1 밖에 안되지만 자기장이 워낙 강하여 태양풍 입자는 다 붙잡힌다. 지구의 자기장 세기는 목성의 1백분의 1이어서 태양풍 입자들을 대부분 놓친다. 그런데 밴 앨런대가 내대와 외대로 ... ...
들판에 형성된 불가사의 원
과학동아
l
199904
떼지어 있다. 하늘에서 보면 원 바깥쪽에 있는 나무들의
밀도
는 빽빽한데 원 내부의
밀도
는 낮다. 원 안쪽 벌판은 바깥쪽보다 1-2m 정도 낮다.곰팡이설은 한 지점에서 균류에 의한 감염이 시작돼 원모양으로 주변부에 퍼져나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숲에서는 곰팡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결정적으로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
과학동아
l
199904
나오는 우주의 현재
밀도
인자의 값은 1(이 중 물질
밀도
인자는 0.3이고, 우주상수
밀도
인자는 0.7임)로서, 현재의 우주공간은 우주 곡률이 0인 편평공간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값들은 아직도 불확실해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연구가 앞으로도 많이 필요한 실정이다.현대우주론의 화두는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03
문제가 된다. 따라서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보상해주기 위해서는 단위면적당 전하
밀도
를 높여야 한다. 그러므로 D램에서 용량 증가는 결국 어떤 종류의 캐패시터 박막을 어떤 방식으로 만드느냐의 문제로 좁혀진다.1Mb 용량까지는 캐패시터의 유전체를 질화규소와 산화규소(Si₃N₄-SiO₂)의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02
원반과 같은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수축이 어느 단계에 이르면 원반의 중심부가 높은
밀도
와 큰 질량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온도가 높아져 핵융합반응이 일어나 태양이 탄생한다. 이때 태양 주변에 떠돌던 먼지 입자가 모여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 그리고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을 형성한다.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