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01
높은
밀도
로 유지하면서 가능한한 긴 시간 동안(1m3당 1천20개 이상의 플라스마
밀도
하에서 1초 이상) 가두어 두기 위한 실험장치들이 고안됐다. 그 중에서 옛소련의 사하로프와 탬에 의해 자기장을 가지는 진공용기로 개발된 토카막(Tokamak) 장치는 1968년 처음으로 1천만도로 초고온인 플라스마를 ... ...
② 수소 발견 이야기
과학동아
l
199901
다른 금속과 산들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공기가 모두 동일하다는 점과 이 공기의
밀도
가 보통 공기(대기)보다 매우 작다는 점을 발견했다. 캐번디시는 이 결과를 왕립학회에서 ‘인공의 공기들’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18세기에는 이 가연성 공기 외에도 몇가지 새로운 공기가 다수 ... ...
밤하늘의 수채화 성운
과학동아
l
199901
산란되고 상대적으로 파장이 긴 붉은색은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이다. 만약 별 근처에,
밀도
가 높은 성운이 있다면 산란효과는 더욱 커지고 우리 눈에 보일 정도로 뿌옇게 빛나게 된다. 이러한 성운을 반사성운이라 하며, 이들은 대체로 푸른색을 띤다.대표적인 반사성운으로 ‘좀생이별’이라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01
이런 고산병도 알고 보면 혈액의 산도와 관련돼 있다. 높은 산에 올라가면 공기의
밀도
가 낮아진다. 따라서 몸이 필요로 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서는 호흡을 더 빨리 해야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그 대가로 피 속에 들어있던 이산화탄소를 너무 많이 잃어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몸에서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12
옆으로 밀어내고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는데 이것이 물거품이 다. 이 물거품은
밀도
가 작아 수면으로 떠오르면서 곧 터진다.⑤프라이팬 코팅의 비밀음식을 볶거나 부침을 할 때 중요한 것은 재료가 그릇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것. 이를 위해 무한정 기름을 부을 수도 없는 일이어서 부침요리는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11
방전전압이 약 3.6V로 기존의 니켈-카드뮴전지와 니켈-금속수화물전지의 3배이고 에너지
밀도
는 이들 전지의 1.5배 이상 높아 전자제품에서 전지가 차지하는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 리튬이온전지는 싸이클수명이 우수하고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고성능 2차전지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 ...
밤하늘의 유혹, 숨겨진 짝별 찾기
과학동아
l
199811
되면 서로의 상대적인 위치가 바뀌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별의 질량, 반지름,
밀도
, 표면 온도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도 얻어낼 수 있다.별들이 모여 사는 여러 방법이중성을 이루고 있는 별 중에서 밝은 별을 ‘주성’이라 하며, 짝이 되는 주성보다 어두운 별을 ‘동반성’ 또는 ... ...
3. 빛보다 빨리 달리는 우주선 초광속비행
과학동아
l
199811
존재하는 성간 물질을 재료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성간 물질의
밀도
가 지구 대기의 1억분의 1보다 작다는 점이 문제다. 만약 1천t 규모의 우주선이 추진력을 얻으려면 수천km에 이르는 흡입구를 가져야 한다. 이런 거대한 규모의 우주선을 만드는 일이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 ...
1. 21세기 황금알을 낳는 거위
과학동아
l
199811
또 노트북 PC를 구동시킬 때 동영상을 보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빨리 구동시킬 때도 출력
밀도
가 좌우한다. 2차전지 꽃피운 리튬리튬이온전지의 리튬은 열로 손실되지 않고 에너지로 쓰이는 에너지 효율이 90% 이상이다. 2차전지 시장에서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온 니켈-카드뮴 전지의 니켈도 에너지 ... ...
3. 1998년 노벨상 : 신물질의 성질 컴퓨터가 알아준다
과학동아
l
199811
바닥상태의 전자
밀도
를 알려주는 콘-샴 방정식을 유도했다. 파동함수 대신 전자의
밀도
함수를 직접 이용하는 콘의 이론은 '
밀도
범함수 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으로 발전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한 계산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물론 포플의 가우시안 프로그램에서도 콘의 이론을 이용한 계산을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