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8] 자기소개서, 어떻게 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통해 진로를 더욱 구체화할 방법을 생각해봐야 한다. 아직 진로를 정하지 못한 학생은 목표학과에 진학한 뒤에 무엇을 좀 더 배우고 연구하고 싶은지 고민해봐야 한다. 학과 및 진로에 대한 정보는 각 대학 홈페이지나 고용노동부, 교육부 등 정부기관이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상세하게 확인할 수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장면이 나온다. 핵무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앱을 켜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목표물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런 기술은 현재 이미 상용화됐다. 가장 구미를 당기는 부분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마치 자동차 게임을 하듯 무인자동차를 조종하는 장면이다. 자동차 전방을 스마트폰 화면으로 ... ...
- [Future] 1회 충전으로 609km 주행, 누가 수소차를 무시하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미국에서의 주도권은 일본 기업들이 쥐고 있다.현재 BMW는 토요타와 함께 2020년을 목표로 수소전기차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완성차업체인 폭스바겐그룹은 아우디를 중심으로 현대자동차와 연료전지 기술을 공유하는 협약을 지난 6월 체결했다. GM도 혼다와 연료전지 시스템을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영재학교 학생들에게는 스터디가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다만 스터디가 원래 목표대로 이뤄지려면 멤버들이 흐트러지지 않고 엄격하게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민을 통한 성장, 자기소개서에 기술 - 18학번 곽승민세종시에 위치한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의 첫 졸업생인 곽승민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TESS는 케플러가 확인하지 못했던 중심별들을 집중적으로 관측할 계획이랍니다. TESS의 목표는 골디락스 존에 위치하며, 단단한 지각을 가진 외계행성을 최대한 많이 발견하는 거예요. TESS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NASA의 스테펜 라인하트 연구원은 “TESS가 발사되면 지구와 닮은 외계행성들을 더 많이 ... ...
-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좌표계만으로 수많은 외계행성을 찾았지. 외계행성에서 생명체를 찾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그런데 지구에도 행성사냥꾼이 있다면서? 나보다 뛰어난 행성사냥꾼이 있는지 확인하러 얼른 가봐야겠군!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Part 1. 베테랑 사냥꾼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신청 및 편성이 진행됩니다. 자율동아리는 5~8명 정도의 소규모 학생들이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고 지도교사를 섭외해 방과 후 시간에 일정한 횟수 이상의 활동을 진행하면 생활기록부에 자율동아리 활동으로 인정됩니다.단, 학기 초에 미리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 분야를 정하고 친구들을 모아서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일반전형 구술고사를 준비했다. 기출문제 풀이와 모의 면접 등을 중점적으로 공략했다. 목표를 명확히 설정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시험을 준비하고 치를 수 있었다고. 강 씨는 진로를 고민하는 후배들에게 “대학에 진학하면 선택지가 줄어드는 만큼 고등학교 때 최대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를 통해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는 가상공간인 ‘공존현실’을 만드는 게 저희 연구단의 목표랍니다.” 가상현실이 진짜처럼 느껴지는 비밀은?“연구실 안에 있는 사람들과 가상의 캐릭터가 함께 보이는게 정말 신기해요!” 친구들이 HMD를 쓰자, 눈앞에 연구실의 모습이 그대로 보였어요.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인구의 20분의 1을 차지하는 한국 그룹(약 20명)이 논문의 10%를 내고 있다. 벨 실험의 주요 목표는 B중간자(B Meson)를 만들어 CP 대칭성 깨짐 현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물질과 반물질 사이에 심각한 비대칭을 이루고 있다. 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주 탄생 초기에는 물질과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