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울산과학고등학교가 수학 즐기는 비법! 내고, 모으고, 풀고, 즐기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생각해 시작했다”며, “단점을 보완해 앞으로 더 좋은 책으로 발전시키는 게 목표”라고 초대 편집장으로서 포부를 밝혔다. 책에 실리는 문제는 수업시간에 친구들이 만든 문제에서 고르는데, 문제가 얼마나 짜임새 있는지, 오류 없이 답이 간결하게 나오는지에 초점을 맞춰 선별한다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다른 하나를 ‘도착보드’라고 해요. 두 보드의 빈칸 중 일부에 ×가 있는데, 게임의 목표는 시작보드에 있는 ×의 위치를 도착보드에 있는 ×의 위치와 똑같이 만드는 겁니다. ×와 빈칸은 동전의 앞뒷면과 같아서 ×를 뒤집으면 빈칸이고, 빈칸을 뒤집으면 ×입니다. 한 칸씩 골라서 뒤집을 수 있으면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관이 아닌 교내 봉사활동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으니, 봉사활동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자발적으로 꾸준하게 활동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OINT 3 자신만의 봉사활동 기록 남겨두기봉사활동을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후관리도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또, 양성자와 양성자를 충돌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가속된 양성자를 다양한 종류의 목표물에 충돌시키는 방식을 쓴다. 충돌 에너지가 수 TeV(테라전자볼트·1TeV는 1조eV)에 이르는 LHC에 비하면 경주 양성자가속기는 1만 분의 1 수준인 100MeV(메가전자볼트·1MeV는 100만eV)에 불과하다. 하지만 가속시킬 수 ... ...
- [Issue] ‘한반도 훈풍’에 환율 하락 기업 이익은 오히려 늘어난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결될 것이다. 최근 한국은행은 ‘물가안정 목표제’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수준(2%)을 웃도는 경우에는 금리를 인상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환율이 상승하고 수입물가가 불안한 모습을 보일 때에는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은 곧 ... ...
- [인터뷰] 연세대 입학처장 엄태호 “다양한 인재에게 고른 기회 준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학업을 수행하고 학습해 나가는 자발적인 의지와 태도,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적절한 학습 전략을 선택해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했는지 등 학습 과정을 통해 평가한다. 탐구활동은 어떤 대상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깊고 폭넓게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한다. 전공적합성은 지원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건은 벌써 달성한 거 아냐? 그러면 굳이 하나 더 찾아낼 필요는 없잖아. 물론 나도 알아. 목표 초과 달성해서 평가 잘 받으면 연봉도 오르고 승진도 빨리 하겠지. 이번에 보는 거는 핵미사일로 공격할 그 소행성이니까, 아무래도 관심도 많이 받는 거고 하니까 좋은 논문도 쓸 수 있을 거고. 그러면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공학을 통해 국격을 높이는 데 동참하겠다는 열정을 가진 엔지니어를 기르는 것이 목표”라며 “교수진도 각 분야에서 꼭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조언] 잘 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제 경우에는 잘 하는 것을 선택해 여기까지 오게 됐습니다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로봇을 만들 수 있다. 박 이사는 “한캐드가 쉬운 캐드에서 국민 캐드가 되는 게 목표”라며, “기능을 더 강화해 더 쉽게 3D 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에 덧붙여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마지막 말을 남겼다. “SW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수학은 반드시 필요 합니다. SW의 ... ...
- 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는데, 이 광센서는 페로몬을 탐지하는 개미의 더듬이를 흉내낸 거지요. 군집로봇이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선 로봇끼리의 의사소통 외에도 여러 기술들이 필요해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이동준 교수는 “최근 군집로봇의 이동과 위치 인식 기술 등이 상당히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