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보여요. 이처럼 한정된 공간에서는 벽과 바닥에 붙은 QR코드를 로봇이 읽어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어요. 다음 단계는 QR코드가 없는 낯선 환경에서도 길을 찾도록 하는 것일 텐데, 이 기술은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어요. 그렇지만 자동차도 처음엔 비싸고 불편해서 사람들이 꺼려하다 결국 널리 ... ...
- [현장취재] 하늘에 묻는다 … 세종이 하늘을 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혼천의를 간소하게 만든 관측기기로 북극성의 위치를 기준으로 천체들의 움직임과 위치를 관측해 계절을 파악할 수 있지요. “이제 달을 관측하러 가요!”강연 후, 기자단 친구들은 과학동아천문대로 올라갔어요. 그리고 음력 14일이었던 당일, 망원경으로 밤하늘에 뜬 동그란 보름달을 보았지요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있도록 ‘변신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오 교수는 “휴머노이드가 움직일 때 관절마다 위치와 속도, 가속도가 모두 다르다”며 “어떤 조합이 가장 이상적인지, 어떤 조합이 에너지를 최소화하는지 수억 개의 조합을 계산해 그중 최선의 조합을 제시해야 로봇이 움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내에서 지구와 가장 비슷한 크기와 질량을 갖고 있습니다. 지구처럼 땅과 대기가 있으며 위치도 지구로부터 가장 가깝습니다. 그러나 환경은 많이 다릅니다. 대기가 지구보다 91배 두꺼우며, 그 대기의 96%가 이산화탄소입니다. 계산해보면 지구보다 22만 배 많은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에 갖고 ... ...
- 국경 넘나드는 초원수리, 연구비 거덜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인도에서 보냈는데, 그곳엔 저희와 함께 활동하는 사진작가님이 계셨어요. 그래서 민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진을 보내줬지요. 그런데 예멘은 저희도 예상치 못했던 월동지라서 아직 어떤 연구자도 민을 보지 못했어요. 추적기는 5년까지 사용할 수 있으니 내년 여름에 다시 북쪽으로 돌아온다면 볼 수 ... ...
- [한페이지 뉴스] 5700년 전 껌 화석의 주인은?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덴마크 코펜하겐대 건강및의학연구소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덴마크 남동쪽에 위치한 롤란섬에서 발견된 껌 화석에서 껌을 씹었던 사람의 DNA를 추출해 성별과 피부색, 머리카락색, 눈동자색을 분석했다. 그 결과 약 5700년 전에 살았던 검은색 피부에 흑갈색 머리카락, 푸른색의 눈동자를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무작위로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또 기도나 췌장처럼 원하는 위치에 프라임 에디팅의 구성 요소들을 전달하는 기술도 부족하다. 현재 유전자 치료에서 전달체로 널리 사용되는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를 사용할 수는 있지만, 프라임 에디팅에 사용되는 유전자가 너무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개발했어요. 센서가 없는 곳을 눌러도 피부에 전류가 발생해 주변 센서가 눌린 위치를 알아차리지요. 2018년에는 로봇 전신에 뿌리는 액체인공피부를 개발하기도 했어요. 김 교수는 “촉감은 로봇이 어딘가 부딪혀 부서지지 않기 위해서도 필요한 감각”이라며, “로봇이 수많은 자극 중 위험한 것만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증거였다. doi: 10.1029/2012GL052600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팀은 2002~2009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백두산 인근 지표의 움직임을 조사한 결과 천지 정상을 중심으로 화산체(화산 분출물이 화구 주변에 쌓여 만들어진 산체)가 팽창하는 현상이 관찰된 것을 확인했다. 백두산 산사면 수직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추적하는 원격자료수신장비(텔레메트리)도 있다. 나로호는 최대 초속 8km로 날아가면서도 위치 정보와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됐다. 텔레메트리는 최대 2000km 떨어진 곳에서 보낸 정보까지 수신할 수 있다. 한국과 러시아 연구팀은 발사체를 지상에서 시험할 때나 비행 중에, 혹은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