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식"(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색깔을 ‘듣고’ 음악을 ‘맛보는’ 감각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전세계 인구의 1%는 색깔을 볼 때 소리가 떠오르거나 음악을 들을 때 특정 맛이 느껴지는 ‘공감각’을 경험한다. 최근 이런 공감각이 서로 다른 감각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연 ... 느끼는 감각 쌍이 고정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지각과 인식’ 5월호에 발표됐다 ...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특수한 경우에는 한쪽으로 사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어에 따라 세계를 서로 달리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3월 6일 ‘심리과학’ 저널에 실렸다. 단정할 순 없지만, 사랑이가 한국어를 배우는 건 일본식 사고방식에 더해 한국식 사고방식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조화에도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 440Hz★, 30dB★ 같이 소리가 가진 진동수와 세기로 음을 인식하기 때문이다.“우리끼리 작업을 하면서 ‘라’라는 단어를 쓴 적이 거의 없어요. ‘55Hz 소리랑 220Hz 소리를 같이 써보면 어떨까?’ 하는 식으로 이야기하죠. 소리끼리 사칙연산을 하는 거예요.”이들은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눈이 사물을 보는 원리를 들었다. 빛이 망막에 맺힐 때 뇌는 3차원 세상을 2차원 이미지로 인식한다. 그래서 사물을 3차원적으로 생각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은 물건을 손으로 만지거나 물건이 움직이는 소리로 생김새를 상상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롭게 물체를 ... ...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다음으로 인기를 끌었고 30대 이상은 강남역과 신촌, 논현 등 구도심이 핫플레이스로 인식됐다. 재밌는 건 20대와 달리 30대에서는 ‘부암동’이, 40대에서는 ‘삼청동’이 핫플레이스 검색어 상위에 올랐다는 점이다. 부암동은 공방과 카페가 어우러진 고즈넉한 매력이 있는 곳이고, 삼청동은 허름한 ... ...
- [수학뉴스] 수의 크기를 아는 병아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센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실험에 참여한 동물들이 왼쪽 시야에 집중해서 그쪽의 수부터 인식한 것일 수도 있고, 실험 전에 미리 훈련을 받았을 수도 있지요. 그래서 이 동물들이 선천적으로 수에 대한 개념이 정말 있는지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답니다. 어때요, 작고 어리다고 우리 병아리들을 ... ...
- [생활] 인간을 닮은 컴퓨터, 인공지능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그 인물을 알아본다. 딥 페이스의 인식률(97.25%)은 인간이 다른 사람을 알아보는 인식률(97.53%)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UN 미래보고서’에 따르면, 2045년이면 인간의 두뇌를 뛰어넘는 인공지능이 나올지도 모른다. 빌게이츠, 스티븐 호킹은 인공지능이 인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2010년에는 동물음성인식번역기를 개발했다는 영상을 발표했고(QR코드), 2011년에는 동작인식센서로 이메일을 보내는 기술을 만들었다고 사기 쳐 수많은 사람을 PC 앞에서 춤추게 만들었다. “그것도 구글이니까 먹혔던 겁니다.최첨단 IT기업인데다 실제 있을 법한 기술이잖아요. BBC에서 발표한 ...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적 없는 가상의 기계지만, 컴퓨터가 모든 정보를 0과 1로 구성된 이진법 언어로 바꿔 인식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최초의 사례다.튜링 기계의 탄생은 수학 난제 덕분!튜링은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게 됐을까? 그는 1931년 미국의 수학자 쿠르트 괴델이 발표한 ‘불완전성 정리’에서 영감을 얻었다.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가장 많이 쓰는 것은 ‘광 마우스’예요. 빛을 발사해 바닥에 반사된 빛으로 움직임을 인식하는 원리지요. 마우스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LED에서 빛이 나와요. 이 빛은 프리즘에 닿아 굴절되고, 구멍을 통해 바닥에서 한 번 더 반사되어 광학센서로 들어가지요.광학 센서는 빛을 이용해 바닥면을 1초에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