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게임"(으)로 총 1,7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써보니] 우리 아이 첫 스마트 기기, 카카오키즈탭동아사이언스 l2017.06.19
- 카카오키즈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어린이용 앱은 앱만 빠져나가면 바로 일반적인 게임이나 동영상 앱을 만나게 되지만, 카카오키즈탭은 단말기 자체가 바로 키즈모드라 안심하고 아이에게 맡길 수 있습니다. 물론 키즈모드에서 빠져나가 카카오키즈탭을 일반 갤럭시탭으로 쓸 수도 ... ...
- 축구와 함께 배우니 수학이 즐겁다...축구장에서 열린 수학 교실수학동아 l2017.06.16
- 속의 수학을 공부했다. 참가자는 먼저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한 프리킥 차기와 골키퍼 게임을 즐겼다. 이어서 바닥에 켜지는 불빛을 따라 드리블을 하고, 가상의 골대를 향해 슈팅을 하면서 속도와 정확도를 알아보는 등 다양한 축구 체험에 빠져들었다. 체험관을 돌아본 뒤 본격적인 수학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생물학의 모든 영역에서 핵심”이라며 “삶은 에너지를 자손들에게 전환하는 게임으로, 생물의 모든 특성은 칼로리를 소모할 때 얻는 대가를 최대화하기 위해 자연선택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 식욕 조절이 관건 운동이 살 빼는데 별 효과가 없다는 사실에 실망할 수도 있지만 어찌 보면 ... ...
- [WWDC 2017 ⑤] 앱에게 디자인은 뭘까? 2017.06.11
- 중심으로 잡았다는 게 개발자의 설명이다. 또한 일반적인 터치 입력 대신 센서를 게임과 연결한 부분도 기술적으로 디자인의 고정 관념을 깼다. e메일 관리 앱인 ‘에어메일(Airmail)’도 올해 디자인 상을 받았다. 사실 에어메일은 e메일 좀 쓴다는 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메일 클라이언트다. ... ...
- [돈테크무비]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 그 다음 이야기는 ‘에일리언’ 시리즈? 2017.06.11
- 시작한 그는, 인류가 석기, 바퀴, 화약, 전구, 자동차, 인터넷, 생명공학, 나노공학 등의 ‘게임 체인저’들을 만들어내 왔음을 청중들에게 상기시킨다. 그리고 2023년인 그 시점에서 몇 년 안에 사람과 전혀 분간이 불가능한 인공지능 로봇이 만들어질 것이라 말하며, “우리는 이제 신이 되었다”고 ... ...
- [카드뉴스]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동아사이언스 l2017.06.10
- 아들. “아들! 숙제는 다 했니?” “…….” “너 또 게임에 정신줄 놓고 있구나. 너 3일간 게임 금지!”" 우리는 한 가지 일에 집중하면 주위의 다른 자극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사실 집중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우리 뇌는 대부분의 자극을 인지하지 못하지요. 우리가 깨어 있는 동안 노출되는 무한한 ... ...
- [WWDC 2017 ④] 새 아이패드와 iOS2017.06.10
- 영화가 아닌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이럴 때는 적절한 프레임으로 보여준다. 대신 게임이나 카메라 촬영에서는 더 많은 프레임을 그리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 이 주사율과 새 프로세서 덕분에 애플 펜슬은 반응 속도가 20밀리초로 빨라졌고, 화면과 애플 펜슬의 펜 끝이 떨어지지 않고 실제 연필로 ... ...
- [WWDC 2017 ②] iOS와 아이패드, 그리고 스피커2017.06.06
-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앱 소개 화면도 더 다양한 정보들로 채워진다. 영상과 게임 화면이 더 큼직하게 뜨고, 리뷰와 관련 정보, 앱 내 구매 정보도 아주 크게 보여진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카드 형태라고 보면 된다 워치OS를 비롯해 애플 역시 카드 형태의 UI를 확대해가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 ...
- [WWDC 2017 ①] 아마존 만난 애플TV, 머신러닝 품은 애플워치2017.06.06
- 수 있게 된다. 또한 애플은 HTC, 밸브 등과 파트너를 맺고 바이브 VR을 활용하고, 스팀의 게임 콘텐츠를 VR로 보여줄 수 있다는 발표도 이어졌다. 최호섭 제공 새 하드웨어도 선보였다. 아이맥은 인텔의 7세대 코어 프로세서와 더 나은 그래픽 프로세서 등을 갖췄고, 아이맥의 자랑인 디스플레이는 50 ... ...
- 알파고의 실수를 유도하려면?2017.05.26
- 그런 질문을 받으면 내 대답은 한마디로 ‘아니오’였다. 바둑은 집이 많으면 이기는 게임이고 효과적으로 집을 지으려면 벽과 자신의 돌을 적절히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귀, 변, 중앙으로 바둑을 전개해 나가고 돌과 돌 사이의 관계를 잘 유지해 주어야 한다는 것은 만고 불변의 진리이기 때문이다.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