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뉴스
"
겨울
"(으)로 총 1,767건 검색되었습니다.
훌륭한 연구 성과 뒤에 보이지 않는 ‘금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다 통제하는 데도 사람이 동물실에 드나들 때 미묘하게 바뀌는 공기 때문인지 여름과
겨울
상태가 다르다”고 말했다. 이윤성 IBS 유전체향상성 연구단 책임연구원과 송혜인 연구원.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이토록 예민한 실험 모델이 관리자나 장소에 따라 상태가 달라지는 것은 지극히 ... ...
수학 국가대표 3인방의 수학 공부법은?
수학동아
l
2018.03.22
좋은 성적을 거두면 참여할 수 있는
겨울
학교도 이번이 처음이었어요. 2017년
겨울
부터 갑자기 성적이 좋아져서 대회도 나가고 또 거기서 1등도 하게 되니 그저 꿈만 같아요. 윤승재 저도 국가대표가 처음이고, 해외를 나간 적이 별로 없어서 유럽을 간다는 것만으로 매우 행복했어요. 물론 여행은 ... ...
숲속을 뛰어다니는 머리 없는 두꺼비
팝뉴스
l
2018.03.16
코도 입도 없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발견 직전에 다쳤을 가능성이 있고,
겨울
잠을 자는 동안 기생 생물에 의해 머리가 먹혔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온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슈퍼 화산 폭발로 인류 멸종할 뻔...당시 폭발 위력 증거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0배 이상 강했던 토바 화산의 폭발은 전체 지구의 온도를 4~5도 가량 낮춰 약 1년간 혹독한
겨울
을 불러왔을 것으로 보고 관련 증거를 찾는 연구가 진행 중이었다. 토바 화산과 인류 이주 시기의 상호 연관 관계도 함께 연구된다. 현재까지 밝혀진 인류의 이주 역사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약 30만~2 ... ...
아이언맨 슈트 입고 성화봉송… 올
겨울
평창은 로봇의 성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통해 공개됐던 많은 로봇들은 모두 한국 로봇기술이 세계적임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번
겨울
을 계기로, 한국 로봇기술 연구가 더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참여했던 국내 기업들은 해외 진출과 마케팅 효과도 노려볼 수 있다. 조직위 관계자는 “제작기업들은 정식 올림픽 후원사가 ... ...
월요병 날리는 시원한 다이빙
팝뉴스
l
2018.03.12
제공 이제
겨울
이 가고 봄이 왔다. 곧 여름이 시작될 것이다. 사진은 여름의 가장 멋진 장면 중 하나를 포착했다. 한 여성이 용감하게 절벽에서 뛰어내리고 있다. 아주 근사하게 촬영되었는데 카메라를 든 사람의 역할도 컸다. 함께 뛰어내리며 촬영한 것 같다는 의견이 해외 네티즌 사이에 많다. ... ...
[짬짜면 과학 교실] 공기로 짠 양탄자
2018.03.10
떼가 짐도 없이 이사 오는 소리 웅크린 낙엽에 떨어지는 싸락눈 소리
겨울
잠 자는 동물에게 더 자라는 소리 정월 대보름날 밤을 달리는 들불 소리 해묵은 풀들에게 작별 인사 하는 소리 공기로 짠 양탄자에 앉은 투명한 소리 눈 깜짝할 새 날아오는 신기한 (( ... ...
“영미! 한판 붙자” 국내 개발 AI 컬링로봇, 인간과 첫 대결…결과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서비스 등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한편 평창
겨울
올림픽에 이어 9일부터 열흘간
겨울
패럴림픽이 개최된다. 6개 종목 중에는 휠체어컬링도 있다. 혼성 경기인 휠체어컬링은 컬링과 달리 8엔드로 진행되며 스위핑이 없고 손뿐만 아니라 막대기(딜리버리 스틱)를 이용해서도 스톤을 던질 수 있다. ... ...
‘봄인데…’
겨울
강추위보다 괴로운 꽃샘추위, 왜?
동아사이언스
l
2018.03.08
다시 따듯한 날씨가 이어져, 13일 최고 기온이 16도까지 오른다. 서 주무관은 “3월은
겨울
에서 봄으로 계절이 넘어가는 시기인 만큼 4월 중순 전까지는 꽃샘추위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양이 처음 가축화된 게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07
양(Ovis aries)과 염소(Capra hircus)가 있다. 이들은 인간에게 식량과 따뜻한 옷을 제공해
겨울
을 보내는데 큰 도움을 줬다. 고고학적 분석결과 양과 염소는 비슷한 경로 거쳐 가축화가 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지금의 요르단과 시리아 그리고 이란 등이 위치해 있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약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