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뉴스
"
구분
"(으)로 총 2,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회전 스펙트럼을 결합해 이황화탄소와 동위원소가 포함된 분자들을 한 번의 측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 점을 응용해 분자의 토토머(이성질체)나 동위원소 효과 등을 분석할 것이다. UNIST 제공 그러니까 자연에는 화학식은 같지만 입체적인 분자구조가 거울대칭인 그런 물질들이 있어서 광학적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전면 재검토해야
2020.08.19
복지부의 잔칫상에 숟가락을 들고 나서는 모습도 볼썽사납다. 기초·원천과 응용의
구분
은 과기부를 해체해버렸던 2008년 인수위가 내놓았던 어쭙잖은 아이디어였다. 대덕에 출연연을 하나 더 만들겠다는 여당 중진의원의 지역이기주의도 관료들의 부처이기주의와 조금도 다르지 않은 것이다. ... ...
[프리미엄 리포트]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08.15
“겉모습의 특징을 보고 운석인지 아닌지 쉽게
구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운석을
구분
하는 가장 큰 특징은 표면에 있는 용융각(Fusion Crust·마찰시 발생하는 열로 운석이 녹았다가 식으며 운석 겉표면에 생기는 층)이다. 박 선임연구원은 “지구 밖 에서 온 운석이라면 반드시 용융각 흔적이 ... ...
발열-기침-근육통-메스꺼움-구토-설사...코로나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 순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9 환자의 증상 발현 순서를 알면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계절성 독감과의
구분
이 가능해져 코로나19 환자들의 신속한 격리 및 치료 조치에 도움을 준다. 피터 커 서던캘리포니아대 미켈슨융합바이오사이언스센터 교수와 제임스 힉스 교수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은 ... ...
손 대신 지느러미 택했지만...자연은 손가락뼈 유지한 수중동물 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우선 육상에서 바다로 돌아간 수생 동물은 대부분 지느러미 속에 손가락들이 서로
구분
되는 형태의 뼈 모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손가락이 따로 보이지 않는 지느러미에서 볼 수 있듯 손가락이 주변 피부와 조직으로 연결돼 개별 손가락을 하나하나를 까딱거리는 것은 불가능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SNS에서 뜨거운 MBTI 얼마나 믿어야할까
과학동아
l
2020.08.08
T 척도가 가장 중요하다”며 “각 성격유형에 따라 중요한 결과와 그렇지 않은 결과를
구분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자는 검사 결과를 토대로 김 부장과 심층 상담을 진행했다. 먼저 검사 결과에 대해 본인 스스로 평가하게 했다. 평소 생활 습관, 경험을 떠올려보니 검사 결과에 어느 정도는 ... ...
딱딱한 문어체 글만 잘 읽던 AI, 이젠 구어체가 더 편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경상돈데’라고 구어체 축약표현으로 문장을 표기할 경우 ‘경상도’와 ‘인데’로
구분
하지 못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문어체 문장은 우리말 표기법을 따르기 때문에 대규모 학습데이터를 필요로 하지만 구어체 문장 데이터는 구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ETRI에 따르면 개체명 인식 ... ...
정확도 높고 자원 소모량 줄인 '양자컴' 오류수정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단위로 ‘양자비트(큐비트)’를 사용하는 컴퓨터다. 보통 디지털 컴퓨터는 0과 1이라는
구분
된 값을 정보와 연산의 기본 단위(비트)로 활용한다. 비트는 0 또는 1이라는 값을 갖지만, 큐비트는 양자역학 특유의 현상인 ‘중첩’을 활용해 0과 1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로 정보를 처리한다. 이 때문에 ... ...
벼와 모양 비슷한 사초과 식물 2종 세계 최초 발견
연합뉴스
l
2020.08.04
비슷하지만 꽃의 개수가 녹빛사초와 비교해 6∼9개로 많고, 열매의 크기도 작아 신종으로
구분
했다. 애기녹빛사초[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해 올해 하반기에 관련 학계에 보고할 예정이다. 또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모든 식물의 ... ...
[인간·공감·AI] ⑤ 귀 달리고 눈 달린 AI드론 사고현장 출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청각 정보를 식별하는데, 사람이 쉽게 구별하는 고양이와 개 소리조차 아직 기계가
구분
하기는 힘든 게 현실”이라며 “그나마 최근에는 데이터를 많이 모아 딥러닝을 이용해 분류하는 방법을 적용하면서 활로가 마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홍국 GIST 교수와 연구원이 한 자리에 모였다. 김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