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05건 검색되었습니다.
흰색 피 남극빙어, 찬 바다서 살아남은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진화했다. 또 남극어류는 일반어류에 비해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미토콘드리아의
밀도
가 높아 활성산소가 많이 발생한다. 활성산소는 생체조직 내부에서 생성되는 산화력이 강한 산소로 따로 해독이 이뤄지지 않으면 세포를 손상시킨다. 남극어류가 자체적으로 활성산소를 해독하는 것으로 ... ...
핵융합 3파전…한국 인공태양이 최종 승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일어난다. 부피가 10만 분의 1 이하로 쪼그라들면서 내부에 별의 중심부와 같은 초고
밀도
상태가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핵융합이 일어난다. 큰 기대를 모았지만, 레이저 핵융합 연구는 최근 소강상태다. NIF도 최근에는 다른 핵물리학 기초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스티븐 콜리 미국 ... ...
한국형 인공태양 “2025년 1억도 플라스마 5분 유지” 향해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이날 기념식에서 이현곤 핵융합연 부소장은 핵융합 상용화 핵심기술인 초고온·고
밀도
핵융합 플라스마의 장시간 유지 기술 확보를 위한 계획을 밝혔다. 2025년까지 가열장치를 증설하고 토카막의 진공용기를 뜨거운 플라스마로부터 보호하는 장비인 ‘디버터’의 재료를 교체할 예정이다. 이를 ... ...
석유에서 부작용 없는 약물 핵심성분만 골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수 있는 단결정 엑스선 분석과 분자의 특성을 양자역학적 에너지로 측정해 파악하는 범
밀도
함수이론이 반응 과정을 분석하는 데 쓰였다. 그 결과 락탐의 합성과정에서 촉매의 카이랄 다이아민 골격과 탄화수소 간에 일시적인 수소 결합이 발생하고 그 결과가 골격에 따른 거울상 이성질성으로 ... ...
초음속 '비' 맞아도 깨지지 않는 유리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소결이란 분말입자들이 열적 활성화 과정을 거쳐 하나의 덩어리가 되는 과정을 뜻하는데
밀도
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를 소결 조제라 한다. 하지만 소결 조제가 기공을 제거해 강도는 증가되지만 열전도도는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소결 조제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엔 기공 발생으로 강도가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주요 성분 중 하나로, 토성 대기가 태양빛을 받을 때 생겨난다. 그런데 관측해보니 H3+의
밀도
가 위도에 따라 들쑥날쑥했다. 단순히 태양빛의 효과로 볼 수 없는 현상이었다. 2013년의 관측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우연이나 실수가 아니었다. 토성 고리에 있는 얼음 입자의 크기는 수십 ... ...
'1400도 불 뿜어도 반대쪽은 멀쩡' 초강력 단열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에 무게가 0.1mg이 채 나가지 않았다.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종류의 에어로젤 가운데 가장
밀도
가 낮다. 전체를 20분의 1 크기로 줄여도(95% 압축) 다시 원래의 형태를 회복할 정도로 내구성과 유연성이 뛰어났다. 또 극저온 및 초고온을 모두 잘 견뎌서, 영하 198도부터 영상 1400도(진공상태 기준. ... ...
"우주에서 전기 만들자" 우주 태양광 연구에 세계가 뛰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항우연 원장은 “청정 에너지 확보는 범지구적 과제인데 특히 좁은 영토와 높은 인구
밀도
를 갖는 한국은 원전을 대체할 청정에너지를 찾는 게 쉽지 않다”며 “발사비용, 위성구조 개선과 경량화, 전력전송효율 개선 등 수많은 난관이 있지만 국제사회와 협력하면 새로운 성장에너지를 확보할 수 ... ...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KSTAR, 첫 이온온도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온도인 1500만℃보다 7배 가량 높은 1억℃의 초고온 플라즈마를 만들어 태양보다 부족한
밀도
를 상쇄해야 한다. KSTAR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초고온 플라즈마를 만들고 유지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초전도자석으로 만든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가두는 ‘토카막’형 초전도핵융합장치다. KSTAR ... ...
금속이온 자리 교체로 연료전지 성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전했다. 이번에 개발한 전극 소재를 사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
밀도
는 800℃에서 1.8W/㎠로,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 중 세계 최고의 성능을 나타냈다. 또 메탄(CH₄)을 직접 연료로 쓸 때 이산화탄소 변환효율도 보고된 전극 소재보다 약 2배 정도 뛰어났다. 김건태 교수는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