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05건 검색되었습니다.
美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화성 샤프산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큐리오시티에 탑재된 화학과 광물학 측정 장비가 조사한 화성 표면의 광물 결정의
밀도
인 세제곱미터(㎥)당 2810㎏의 60% 수준이다. 연구팀은 샤프산의 땅속은 단단하게 압축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이 많은 다공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은 이전에 과학자들이 추측한 가설 중 ... ...
차세대 2차전지 이론 용량 92%까지 따라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전극 표면을 덮는 비율이 줄었다. KAIST 제공 기존 리튬-이온전지와 비슷한 면적당 용량
밀도
를 갖는 고용량 황 전극을 만들었더니 이론용량의 92%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이 염을 사용할 경우 음극에 안정한 표면 피막을 형성하는 효과도 있어 100회 이상 구동에도 전지의 성능은 떨어지지 않았다. 김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T세포와 B세포의 수가 크게 줄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들 세포의 표면에는 CD150이 고
밀도
로 분포해 있어 홍역 바이러스의 집중 공격을 받은 결과로 보인다. 이와는 별도로 연구자들은 동일인에서 홍역을 앓기 전과 앓고 난 후의 면역세포 유형에 따른 수의 변화를 알아보기로 했다. 어차피 한동안 ... ...
건축물처럼 쌓아 만든 고효율 '수직형 다이오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커뮤니케이션스 실험 결과, 완성한 다이오드는 면적 당 전하를 수송하는 능력인 ‘전류
밀도
’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전자 등 입자가 장벽을 통과하는 양자역학 원리인 ‘양자 터널링 효과’를 통해 전하를 수송해, 구동 속도도 높아졌다. WSe2의 두께만 변화시켜서 전하 수송 등의 현상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백세 시대 인류가 원시인보다 암울한 이유
2019.01.13
머무르도록 진화합니다. 구석기 시대에는 모든 사람이 수렵채집 생활을 했고 인구
밀도
는 아주 낮았습니다. 신종 전염병을 옮길 가축도 없었죠. 감염병이 있었다고 해도 치명도가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지금의 수렵채집인은 주변에 정주 생활이나 유목 생활을 하는 사람이 많으므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블랙홀 진화와 코로나 감소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12
이 가스 구름이 블랙홀에 한번에 흡수되지 못하고 블랙홀의 입구 주변에 점점 쌓이면서
밀도
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물질들이 입구 주변에 쌓여 일순간 강력한 엑스선의 형태로 블랙홀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분출되는데 이를 제트라고 부른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칭해 ‘블랙홀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활용될지,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항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남한은 인구
밀도
가 너무 높아 더 이상 호랑이가 살 수 없지만, 북한의 백두산과 개마고원 일대는 가능성이 있다”며 “호랑이를 일부러 풀어놓을 것도 없이, 러시아에서 북한으로 호랑이가 내려올 수 있는 길을 조성해주면 ... ...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후예 테스…외계 행성·초신성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매사추세츠공대(MIT) 카블리천체물리학우주연구소 연구원은 "HD 21749b 행성은 해왕성보다
밀도
가 크지만 지구형 아닌 가스형 행성의 특징이 나타났다"며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고 다른 형태의 잠재적 대기권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새로 확인된 외계행성 ‘Pi Mensae c'는 6일마다 태양 크기의 ... ...
새 별에서 일어난 성풍(星風)이 주변 별 형성 억제
연합뉴스
l
2019.01.09
만들어 주변에서 별이 형성되는 것을 막는 대신 거품의 끝으로 가스 분자들을 밀어내
밀도
를 높임으로써 별이 탄생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와 독일항공우주센터(DLR)가 공동 운영하는 프로젝트로 직경 2.69m의 망원경을 장착하고 있다. NASA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때문이다. 그런데 그래핀 초전도 현상이 고온초전도체가 보이는 현상과 꽤 비슷하다(전자
밀도
를 높여주자 부도체가 초전도체로 바뀌었다). 알다시피 그래핀은 탄소원자로만 이뤄진 2차원 물질이다. 따라서 이론을 만들기가 훨씬 쉽다. 이미 그래핀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을 담은 논문이 10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