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스페셜
"
자리
"(으)로 총 1,38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추정했다. 그 뒤 이 박테리아의 한 종이 진핵생물에 잡아먹혀 소화되는 대신 세포 내에
자리
를 잡으며 엽록체가 됐고 그 결과 조류(algae)와 식물이 나왔다. 한편 이들 세 그룹의 산소호흡, 즉 당을 산소로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자 각자 계열이 다른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우리 삶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떤 행동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단지 그
자리
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일이 잘못된 책임을 다 뒤집어쓰는 경우도 있고 엄청난 실수를 했음에도 별다른 피해가 나지 않아 유야무야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나이가 들수록 운칠기삼(運七技三)이라는 말이 와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
2017.02.26
사람들은 더 자신의 이익을 중시하게 되는 경향도 관찰된다고 한다. 거기에 높은
자리
에 가게 될수록 공감능력이 떨어지고 조직의 불의를 무마하게 되는 등 잘못된 길에 빠지게 될 가능성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리더의 인성 및 도덕성 같은 ‘내적 자질’이 더더욱 중요한 이유다. ※ 참고문헌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연항생제 내뿜는 바다의 파수꾼 ‘해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해양생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물고기가 알을 낳고 새끼를 키우는 보금
자리
인 산호가 파괴되면서 어획량이 감소하는 것도 사람에게 큰 피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즉 원래 털이 날 피부에서 털이 생기는 신호를 억제하면 땀샘이 생기고 땀샘이 생길
자리
에서 그 신호를 억제하면 털이 생긴다는 것이다. 사실 두 신호는 동전의 양면으로 신호가 있으면 땀샘, 없으면 털이 된다. 따라서 신호의 관점에서는 털이 음(陰), 땀샘이 양(陽)이고 형태의 관점에서는 털이 양 ... ...
[사이언스] 다음 선거에서 누가 이길까? 위키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후보의 당선이 유력하다는 뉴스를 내보냈다. 하지만 결과는 대반전. 45대 미국 대통령
자리
는 도널드 트럼프 후보에게 돌아갔다. 왜 여론조사는 결과 예측에 실패했을까? 사이언스 제공 학술지 ‘사이언스’는 사회현상 예측을 위한 과학기술을 주제로 특별 섹션을 마련하고, 이를 표지에 실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있다. CNT 덕분에 표면적이 넓어지고 전기전도도가 커져 리튬이온이 빨리
자리
를 뜨거나
자리
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전극의 강도도 커져 충전, 방전 사이클을 반복할 때 생기는 스트레스(열, 변형 등)에 더 잘 견딜 수 있다. 즉 배터리 수명이 늘어난다. 따라서 고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용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연구해 노화현상의 비밀을 규명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이
자리
하고 있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그를 만나 연구 발자취를 따라가 봤다. 멀티오믹스와 시스템생물학 노화 현상은 주로 유전자 수준에서 연구돼 왔다. 유전자 하나를 없애거나 더 만들어서 어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갖고 있다. 따라서 인체는 중앙정부의 입김이 센 지방자치제로 운영되는 셈이다. SCN에
자리
한 핵심 생체시계의 놀라운 점은 알아서 움직이는 데 있다. 즉 빛의 정보가 차단된 곳에서 지내도 생쥐나 사람은 24시간에 가까운 일주리듬을 유지한다. 그리고 생체시계는 고집이 세다. 인공조명으로 하루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거쳐 1980년 미 국립대기연구소 대기화학부문장을 맡았고, 1989년 어바인 캘리포니아대로
자리
를 옮겼다. 이곳에서 그는 여러 분야 전문가들을 모아 지구 기후 변화를 다각도로 연구했다. 이 과정에서 그의 탁월한 리더십이 드러났고 1998년 대학 총장으로 선출됐다. 지구를 살리기 위해 젊음을 바친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