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스페셜
"
자리
"(으)로 총 1,38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 화학의 두 문화를 통합한 존 로버츠
2017.01.03
덧붙였다. 한편 로버츠는 여성 과학자 육성에도 앞장섰다. 1952년 MIT에서 칼텍으로
자리
를 옮길 때 데려간 여학생은 칼텍 최초의 여자 대학원생이라고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1978년부터 2001년까지 시카고대에 몸담았고 2001년 MIT와 화이트헤드생의학연구소(겸직)로
자리
를 옮겼다. 린드퀴스트는 단백질 접힘을 연구하다 열충격단백질(Hsp)에 주목했다. 세포에 있는 단백질은 갑작스레 온도가 올라가면(열충격) 변형돼 기능을 잃을 수 있는데, 이때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시키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많은 과학자들이 그나마 있던 직장도 잃게 되자 버만은 이들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자리
를 잡을 수 있게 도왔다. 한편 1960년대와 1970년대 마오쩌뚱의 문화혁명으로 과학연구가 붕괴된 중국에도 도움의 손길을 뻗쳤다. 부르주아 사상이라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도 거부했을 정도였던 혁명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를 마련했다. 예년과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네이처’에는 ‘부고(obituary)’, ‘사이언스’에는 ‘회고(retrospective)’라는 제목의 란에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시카고대에서 핵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8년 밸 피치의 영입으로 프린스턴대에
자리
를 잡은 크로닌은 피치와 중성 케이온의 붕괴를 연구하다 1964년 CP대칭성 깨짐을 발견했다. 1971년 시카고대로 돌아간 크로닌은 1977년 그곳에 있는 페르미연구소의 충돌빔 책임자가 됐지만 바로 사임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보유했고 바이오벤처를 세 곳 설립했는데 주로 자신의 박사후연구원들에게 양질의 일
자리
를 마련해주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네이처’ 10월 13일자에 실린 부고는 세 명이 썼는데, 그 가운데 둘은 그의 친형들인 루이스 첸과 리처드 첸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 11년 만에 지구에서 천연두를 추방한 의사 도널드 헨더슨
2016.12.28
랭뮤어 밑에서 배우며 그가 만든 역학전문요원(EIS) 프로그램에 참여해 훗날 책임자
자리
까지 올랐다. 1960년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천연두가 만연하자 WHO는 대책마련에 부심했고 38세의 헨더슨은 스위스 제네바로 파견돼 천연두 퇴치 프로그램을 지휘하게 된다. ‘천연두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 펨토초레이저로 화학반응의 명장면을 포착한 화학자 아흐메드 즈웨일
2016.12.27
뒤 폴링과 친분이 두터웠다고 한다. 1990년 라이너스 폴링 석좌교수가 만들어졌을 때 그
자리
에 앉는 영광을 누렸다. 참고로 폴링은 1994년 93세에 타계했다. 노벨상 수상으로 특히 아랍권에서 유명인사가 된 즈웨일은 낙후된 중동의 과학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했다. 또 2009년부터는 오바마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페퍼트는 1963년 인공지능의 개척자 마빈 민스키의 영입제의를 받고 대서양을 건너 MIT에
자리
를 잡았다. 두 사람은 1969년 인공뉴런네트워크에 대한 책 ‘Perceptrons’을 함께 썼다. 페퍼트는 1985년 MIT에서 미디어랩을 열 때 창립 교수진으로 참여해 인식론과 학습, 미래학습 그룹을 이끌었다. 1967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개맛을 연구해 196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2년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 동물학과에
자리
를 잡은 페인은 먹이사슬에 대한 기존 입장, 즉 먹이가 주요 변수이고 포식자가 종속 변수라는 통념을 반박하는 ‘녹색세계가설’를 입증하는 실험을 설계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위적인’ 행동에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