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9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간 50억 번 내리친 번개, 원시 생명체 탄생 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열었다”고 말했다. 우주생물학자인 힐레어리 하트넷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생명과학부
교수
는 미 공영라디오 NPR에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가장 작은 바이러스부터 가장 큰 유기체에 이르기까지 인을 필요로 한다”며 “번개가 상상 이상으로 생명에 많은 것을 가져다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걸을 때 왼쪽 무릎 더 구부려요”…걸음걸이 분석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노인의 경우 걸음걸이를 통해 넘어질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다. 김
교수
팀은 광주고령친화센터에 사람의 몸을 스캔하는 ‘RGB-D’ 센서를 달아 약 3000명의 걸음걸이 데이터를 수집했다. RGB-D 센서는 길이 약 12cm, 높이 약 3cm의 카메라 형태로 적외선 빔을 사람에 쪼인 뒤 돌아오는 ... ...
총장의 연구활동, 업무소홀일까 과학자 본연의 자세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기간 동안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노조는 “우수 학생을 모집하고 유능한
교수
를 초빙하며 기관의 산적한 업무와 발전기금 확충 등 대외적으로 활동에 전념해야 하는 총장 본연의 업무는 소홀하고 자기 자신의 재산 증식에만 관심이 있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김 ... ...
각국 AZ백신 접종중단에 전문가들 "속도보다 안전성…확인 필요"
연합뉴스
l
2021.03.17
방역당국의 수동적 대응이 백신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더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
는 "접종 이후에야 전문가나 질병관리청 브리핑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등 혼란이 많았다"면서 "백신 접종 후 경증 이상반응에 대해 접종 전 발생률과 대응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고 공적 휴가 (도입) 등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교학점제는 20년 묵은 낡은 제도
2021.03.17
지난해 12월 3일 수험장의 모습이다. 사진공동취재단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 ...
[과기원은 지금] 정명수 KAIST
교수
, 메모리 용량·속도 끌어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 KAIST 제공 ■KAIST는 16일 정명수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팀이 메모리의 용량과 속도를 크게 끌어올린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을 통해 인텔 메모리 대비 메모리 슬롯당 4배 이상인 테라바이트 수준의 저장 용량을 가졌으며 휘발성 메모리와 유사한 수준의 데이터 ... ...
'오후 1시 49분' 코로나 양성 판정 가능성 가장 높아지는 시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적게 나온다면 감염자를 음성으로 판정하는 '위음성'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맥너튼
교수
는 “하루 중 특정시간에 더 전염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도 시사한다”며 “추가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英 통계학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생성 주장 신빙성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경험한 사람이 아닌 의료진이 보고한 것이라는 차이는 있다”고 덧붙였다. 스피겔할터
교수
는 “데이터만을 놓고 보면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은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백신에 의한 심각한 사례가 드물게 나타날 수 있지만 아직 그 징후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또 ... ...
마룻바닥서 전기에너지 생산…'압전 나노 발전기'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6
ETH 취리히)와 연방 재료과학·기술실험실(EMPA)에 따르면 ETH 취리히의 잉고 버거트
교수
가 이끄는 연구팀은 목질부에서 '리그닌'(lignin) 성분을 제거하고 스펀지처럼 탄성을 높여 전기를 일으키는 '압전 나노 발전기'를 개발해 발표했다. 리그닌은 나무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3가지 기본 물질 중 하나로 ... ...
"보조생식술로 세계 쌍둥이 인구 급증"
연합뉴스
l
2021.03.16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크리스티안 몬덴 사회인구학
교수
연구팀은 세계에서 매년 약 160만 쌍의 쌍둥이가 태어나고 있으며 이는 30년 전의 1천 명당 9명에서 1천 명당 12명으로 30% 급증한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로이터 통신이 15일 보도했다. 1980~1985년 세계 112개국에서 ... ...
이전
986
987
988
989
990
991
992
993
9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