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689건 검색되었습니다.
"귀 주변에서 2주 이상 덩어리 만져지면 침샘암 의심"
연합뉴스
l
2021.03.15
이상 덩어리가 만져진다면 반드시 전문의 진찰과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정
교수
는 "침샘암의 경우 조기 발견만 해도 생존율이 90%에 이를 정도로 치료 결과가 좋지만 시기를 놓치면 다른 암보다 예후가 더 나빠지는 게 특징"이라며 "주로 50대 이후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중년 이후 ... ...
유럽서 줄이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중단…전문가들 "인과관계 낮아…모니터링 시스템 정상 신호"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접종에 따른 부작용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폴 헌터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의대
교수
도 사이언스미디어센터(SMC)에 "백신 접종 후 혈전이 생성된다는 보고가 적었다"며 "현재까지 이용가능한 정보들을 놓고 봤을 때 백신 접종 후 혈전 발생 인구가 느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 ...
소득불평등 증가 이론 제시한 김지희 KAIST
교수
‘루카스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
는 후속 연구로 소득세율이나 연봉 협상과 같은 제도 변화가 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경제학 이론 모형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공학자들과 함께 인공지능(AI) 기술인 ... ...
‘자국 우선’ 美-유럽 백신 싹쓸이… 글로벌 백신부족 장기화 조짐
동아일보
l
2021.03.15
더 퍼질 경우 백신 구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는 “한국이 글로벌 제약사들이 필요로 하는 생산시설을 제공하는 대신 백신 추가도입을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선 SK바이오사이언스가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백신을 생산하고 있다. ... ...
"뇌졸중 생존자 3분의 1, 우울증 겪어"
연합뉴스
l
2021.03.15
발생률이 50%나 높았다. 그 이유에 대해 레녹스 힐 병원의 브리타니 르몬다 신경심리학
교수
는 뇌졸중 환자가 겪는 신체기능 장애가 심근경색 생존자보다 크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뇌졸중 생존자의 우울증 위험은 지속해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뇌졸중 생존자의 우울증이 뇌졸중 ... ...
빨고 말리고,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입는 컴퓨터 시대가 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개발했다. 옷 소매에 펼쳐진 디스플레이에 손을 대면 글자가 입력되는 방식이다. 펑
교수
는 "장기적으로 사람의 뇌파를 측정하는 신호와 전자섬유를 연동하는 기술도 개발될 수 있다"며 "언젠가 사람의 마음 상태를 알려주는 통역기 역할을 하는 전자섬유가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연구를 진행하기 매우 힘든 상황이다. 마크 허삼 미국 노스웨스턴대 화학및생화학과
교수
팀은 수소 원자를 이용해 보로핀을 수소화하는 방법으로 보로핀의 반응성을 낮출 수 있다고 이번주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표지 오른쪽에 노란 배경에 위치한 육각형 형태가 보로핀이다. 그 위에 하얀색의 두 ... ...
[프리미엄 리포트] AI의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
과학동아
l
2021.03.13
2022년 초·중·고교에서 AI 윤리를 포함한 ‘AI 교육’이 정식 도입될 예정이다. 최
교수
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개발자뿐만 아니라, AI 전체를 설계하는 기획자까지 모두 교육이 이뤄질 때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과학동아 3월호 공정한 AI는 ... ...
‘이말년씨리즈’ 같은 히트작 그리는 ‘AI 만화가’ 꿈꿔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3.13
어떤 방향으로 줄지 결정하는 ‘로봇 뇌’를 만드는 게 그의 일이었다. 그러다가 지도
교수
와 연구실 선배들이 AI 회사를 창업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그의 관심도 자연스럽게 AI로 옮겨갔다. 다음은 이 연구원과의 일문일답. 석사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 ‘이미지 생성 모델’을 공부했어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노년을 행복한 삶으로 받아들이려면
2021.03.13
몸과 마음이 동시에 꺾이는 노화가 있다. 미국 듀크대의 심리학자 애슐리 배츠 앨런
교수
는 자신의 할머니 할아버지를 관찰하면서 노화를 대하는 태도에서 큰 차이를 발견했다. 두 분이 똑같이 나이를 먹지만 할아버지의 경우 크게 불편한 일이 발생하지 않아도 몸이 예전 같지 않고 예전에 이런 ... ...
이전
988
989
990
991
992
993
994
995
9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