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방세포 분화 관여하는 유전자 발견...비만과 대사질환 치료 가능성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사진으로 채택되고 우수논문으로도 선정돼 별도로 소개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당뇨병' 2020년 1월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서울대 제공 ... ...
최종현
학술
원 두 번째 혁신컨퍼런스 주제도 'AI'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지난해 7월 열린 '제1회 최종원
학술
원 과학혁신 컨퍼런스'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세계적인 석학들이 나서 반도체부터 배터리, 자율주행자동차 기술에 적용되고 있 ... 교수, AI와 음악은 이교구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가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최종현
학술
원 제공 ... ...
결핵백신 맞는 방법만 바꿔도 예방률 '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BCG)을 정맥으로 주사한 결과 대부분 결핵에 대한 면역력을 갖게 됐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일자에 발표했다. 결핵은 기침이나 재채기로 인해 공기 중에 퍼져있던 결핵균이 몸속으로 들어가 호흡기나 폐를 감염시키는 질환이다. 세계적으로 20억명이 결핵에 걸리며, 매년 1000만명씩 ... ...
타우 단백질, 치매 예측 1년 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때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 여부를 최소 1년 이상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일자에 발표했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세포 안팎에 비정상적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이 쌓이면서 생긴다. 이 단백질들이 점점 쌓이면 뇌세포가 ... ...
한국육종학회 회장에 강시용 원자력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주도했다. 지난해 7월 한국육종학회 조직위원장으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서 국제
학술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도 했다. 강 회장은 “첨단 신육종기술의 연구개발 활성화와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가들의 경험과 기술을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며 “새로운 첨단 육종 및 ... ...
5700년 전 껌 화석의 주인은?
과학동아
l
2020.01.02
있다는 점에서 귀중한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2월 17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467-019-13549- ... ...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01.01
옷에 기생하는 벼룩이나 이에 의한 감염일 확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018년 국제
학술
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도 실렸죠. 우리 쥐들이 그간 흑사병의 주범으로 억울하게 몰린 게 아니면 뭡니까. doi: 10.1073/pnas.1715640115 연구팀은 이런 설명도 덧붙였습니다. 만약 쥐가 흑사병을 ... ...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
과학동아
l
2020.01.01
발견된다면 외계행성과는 형성된 방식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 12월 11일자에 발표됐다. doi: 10.3847/2041-8213/ab5a8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대해 좀 더 알아보다가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하나 발견했다. 지난 2015년
학술
지 ‘뉴로이미지’에는 실린 논문으로, 서비골수용체유전자 5개 모두 후각상피에서 발현하고 그 가운데 하나인 VN1R1은 헤디온이라는 향기분자를 감지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서비골기관이나 서비골뉴런이 없어도 ... ...
"대장암 80% 연관 돌연변이, 암세포 어떻게 늘리는지 밝혀냈다"
연합뉴스
l
2019.12.31
수행한 토론토대 약학부의 스테판 앵거스 교수팀은 27일(현지시간) 관련 논문을 국제
학술
지 '세포 생물학 저널(Journal of Cell Biology)'에 발표했다. 미국 록펠러대 출판부가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임포틴은 핵 위치 신호(NLS)라는 특유의 인식배열에 결합해 다른 단백질 ... ...
이전
987
988
989
990
991
992
993
994
9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