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86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알레르기치료제·부작용 없는 허리통증 치료기술…2020년 기대되는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원리다. 지난 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알레르기, 천식 및 면역학회(AAAAI) 연례
학술
대회에서는 땅콩 알레르기 환자가 땅콩을 매일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미량씩 복용하면, 땅콩에 대한 민감성이나 위험성이 점점 줄어든다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의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 ...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하는 장내미생물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고광표 서울대 보건대학원과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아산병원, 고바이오랩 공동연구팀은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장내미생물 생태계인 마 ...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셀 호스트 앤 마이크로브' 온라인판 19일자에 발표됐다 ... ...
'실패했어도 칭찬해'…민간최초 달착륙 시도 올해를 달군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학습할 수 있으며 인간과 어느 정도 게임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술래 역할을 맡은 쥐는 체계적으로 사람이 숨은 위치를 찾아내고 시각적 단서를 이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대로 숨는 역할을 맡은 쥐는 침묵을 유지하며 숨는 장소를 바꿨고, 투명한 ... ...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양자선 수직 배열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의 색깔과 편광 상호 간의 제어성. 색깔을 조절하면 선형 편광률이 바뀌게 되고, 반대로 편광을 제어하면 색깔이 ... 가능해 초소형 기능성 광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나노레터스’ 12월 11일자에 게재됐다 ... ...
반창고처럼 붙여 건강정보 수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질병 관찰과 모니터링에도 적용 가능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전자전기통신학회(IEEE) 산업전자공학회보’ 지난달 7일자에 발표됐다. ... ...
표준硏, 중소기업 장비로 반도체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김경중 표준연 나노구조측정센터 책임연구원(가운데)이 케이맥 연구팀과 초박막 두께측정결과를 살펴보고 있다. 표준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중소기 ... 소자의 생산 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측정과학 분야
학술
지 ‘메트롤로지아’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한국의 밥맛이 좋은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못하는 ‘비번역 RNA’가 자포니카 벼에서 훨씬 적게 생산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8일 공개했다. RNA는 일종의 DNA 사본으로 DNA 중 쓸모없는 부분은 사라지고 유전자 발현과 연관된 부분만 남아 있는 유전물질이다. 비번역 RNA는 과거에는 단백질을 만들지 못해 ... ...
전도성 뛰어난 ‘맥신’ 상용화 앞당길 ‘유기 잉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구종민 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장. KIST 제공. 그래핀과 함께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2차원 나노 소재 ‘맥신(MXene)’을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연구 ...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ACS 나노’ 최신호에 게재됐다 ... ...
치료 어려운 '호중구 천식'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이승우 포스텍 교수. 연구재단 제공. 천식 중에서도 치료가 어려운 호중구 천식을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 마커’가 개발됐다. ... 치료법에 접근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유럽호흡기학회저널’ 11월 19일자에 게재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연구성과 '블랙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20일 이름모를 행성에서 바라보는 블랙홀 ‘M87’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옅은 붉은색 원형 속에 존재하는 M87이 강력한 중력으로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을 포함해 모든 물질을 빨아들이고 있다. 이 모습은 상상이 아닌 2017년 4월 5일부터 14일까지 실제 ... ...
이전
990
991
992
993
994
995
996
997
9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