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 가상 인터뷰] NASA의 ‘인간 컴퓨터’ 캐서린 존슨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썼을 때였으니까요. 그래도 전 계속 열심히 했고,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NASA가 작성한 보고서에 제 이름을 올렸어요. 남자 과학자만 들어갈 수 있었던 회의에도 여성 최초로 참석했지요. Q. 어렸을 때부터 수학을 좋아하셨나요? A. 네. 전 어렸을 때부터 숫자 세기에 빠져 있었어요. 부엌에 있는 ... ...
- [시사 과학] 달리지 못하게 된 자동차의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속도를 낮추면 교통안전에 큰 도움이 돼요. 속도를 낮추면 운전자가 도로 상황을 보고 브레이크를 밟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공주거리’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뒤 자동차가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인 ‘제동거리’가 줄어들어요. 또 공주거리와 제동거리를 합한 거리를 ‘정지거리’라고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왼쪽에 앉은 사람은 당신을 따라 하품하지만, 오른쪽 사람은 당신을 멀뚱멀뚱 지켜만 보고 있습니다. 이 둘 중 사이코패스일 확률이 높은 사람은 누구일까요? 답은 오른쪽 사람입니다. 왜냐고요? 영상에 등장하는 세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 보세요. 레고 덕후들 드루와~. 레고의 변신! 조회수 : 8 ... ...
- [특집] 미래가 이끄는 메타버스! 너도 타보지 않을래?수학동아 l2021년 08호
- com/magazine/view/M202108N007 나를 닮은 아바타로 게임을 하고, 한 번도 가지 못한 곳을 가보고, 물건을 보기만 해도 관련 정보가 내 눈 앞에 펼쳐지는 세상. 영화 속에서 다 본 모습들이라고요? 하지만 이제 영화가 아닌 현실이 될 수도 있습니다. 미래를 이끄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만들어진다면 말이죠! 곧 ... ...
- 즐겁다! 에프매스의 무의식 스도쿠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넘버 플레이스(Number Place)라는 이름으로 미국의 퍼즐 잡지 ‘델’에 소개한 걸 시초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 1984년 일본의 출판사 니코리가 발행하는 퍼즐 잡지 ‘퍼즐통신니코리’에서 이 퍼즐을 스도쿠라 이름 붙여 수록하면서 점차 일본 내에서 대중화됐죠. 스도쿠라는 명칭은 ‘숫자는 한 번씩만 ... ...
- 이대로 멈춰있을 순 없어, 폴리매스의 새로운 진화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회원들의 생각이 궁금해! 폴리매스에는 회원들의 관심사를 적극적으로 이야기해보고 나눌 수 있는 기능과 공간도 새로 생겼어! 바로 ‘토론 게시판’ 기능이야. 이 기능들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거냐고? 내가 차근차근 설명해줄테니 아래를 잘 살펴봐~! 폴리매스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가져줘. ... ...
- 친환경 물류부터 라스트 마일 배송까지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소비문화다. 과거에는 쇼핑을 할 때 오프라인 매장에 직접 방문해 상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샀다면, 이제는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배송받는 게 일상이 됐다. 물건 하나가 소비자의 손에 들어오기까지 거쳐야 할 배송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다.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한다고 ...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생활하는 법을 체험할 수 있고, 기업은 다양한 서비스와 신기술을 세종에서 시험해 보고 다른 도시에 확장할 기회를 얻을 것이다.도시, 모빌리티와 관련해 특별히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또 무엇이 있을까.다양성이다. 도시가 지속하려면 다양성이 정말 중요하다. 도시는 지진, 홍수, 블랙아웃 등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알쏭달쏭 전개도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퍼즐은 정답이 딱 하나만 나오게 만드는 게 중요해요. 정말로 정답이 하나인지 따져보고, 가족이나 친구에게 직접 만든 퍼즐을 풀어보라고 하세요. 알쏭달쏭 퍼즐 2 육면체 전개도가 아닌 것을 2개 고르세요. 알쏭달쏭 퍼즐 3 퍼즐 2번의 정답에서 사각형 하나의 위치만 다른 곳으로 옮기면 ... ...
- [수담수담] 수학 원리를 꿰뚫는 공부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선으로 황소를 표현한 것을 볼 때마다 깜짝 놀란다”며 “예술가들은 사물이나 자연을 보고 그 핵심을 뽑아내는 능력이 있는데 수학을 잘 하려면 바로 이런 추상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조 대표에 따르면 이런 추상화 과정은 대상을 꿰뚫어 보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