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워 봤다. 기본적인 장비를 제외한 대략적인 비용은 5만 원.1. 입속에서 세포를 채취해 mtDNA를 분리한다. 2. mtDNA 중 초가변영역(HVR) 유전자를 증폭한다(mtDNA 서열 전체를 읽는 것은 비용이 꽤 비싸지만, HVR구간은 5000원 정도면 충분하다). 3. 일주일 뒤, DNA 서열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하플로그룹을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무척 기분이 좋았다.컴퓨터공학과의 한진영 교수가 만들어 준 AI는 학생들의 행동 자체를 채점해서 깔끔하게 데이터를 정리해 주었다. 뭐가 어떻게 된 건지 로봇의 무릎관절이 한 번 나가 있었던 적은 있었지만 (한진영 교수에게 말하지 않고 몰래 고쳤다) 역시 21세기는 위대했다. 앞으로도 AI를 ...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때문이에요.그때 미끄럼틀처럼 가파른 낭떠러지가 나타났습니다. 설인이 나를 업은 채 뛰어내렸어요. 그러자 설인의 꽁무니에서 로켓처럼 불꽃이 나며 빨라집니다. 아래로~ 아래로~. 역시 떨어지는 거리가 길어서 그런지 속도가 엄청 빨라졌네요!내가 만든 사차함수 위를 달려볼까?이 게임이 다른 ... ...
- [과학뉴스]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슬로터 교수는 “기존 연구들은 아기를 대하는 어른의 행동을 정확하게 통제하지 않은 채 아기의 반응만을 관찰했다”며 “어쩌면 아기는 부모가 기뻐하거나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전후 행동을 보면서 혀를 내밀거나 입을 벌리는 등의 행동을 보였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기는 다른 사람의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 주로 사는 원시 원숭이의 일종인 ‘안경원숭이’는 체중이 1kg이 채 나가지 않는 (100~140g) 아주 작은 원숭이인데, 엄청난 대식가다. 매일 자기 몸무게의 10%에 달하는 먹이를 섭취한다. 주식은 파리, 메뚜기, 매미, 바퀴벌레 등의 곤충과 애벌레. 곤충류는 칼로리가 낮으면서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신체 내부로 들어올 것이며, 우리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아차리지 못한 채 다양한 기계ㆍ전자 장비와 결합하게 될 것이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신체, 지능, 감성적 능력을 바꾸거나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현재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뛰어넘는 슈퍼 인간이 탄생할 가능성도 있다.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위치에 섰을 때 정점에 달했다.부인할 수 없는 염탐자의 시선. 왜 이걸 지금까지 눈치채지 못했을까?파란불이 켜졌다. 윤정은 망설였다. 바로 그 순간 뒤에 서 있던 남자 하나가 그녀의 어깨를 확 밀치고 성큼성큼 횡단보도를 걸어갔다. 윤정은 거의 반사적으로 그 뒤를 따랐다. 걷는 동안 둘의 ...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럭비공처럼 길고 둥근 타원형의 열매가 열려요. 하나의 가지에 여러 개의 열매가 매달린 채 밑으로 쳐져 있지요. 이 열매에는 사포닌과 타닌, 비타민 A 등이 들어 있어 고혈압이나 당뇨병, 부인병 약의 재료로도 쓰여요. 꽃이 예뻐서 관상용으로 많이 심기 때문에 도시나 마을 근처에서 봤다면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특성을 가리켜 ‘유비쿼터스’라고 표현한다.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다는 얘기다. 이를 채취해 미생물연료전지 안에 넣으면, 특정 미생물이 살아남아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전기를 만들지 못하는 나머지 미생물은 시스템 안에서 자연적으로 도태된다. 유비쿼터스 미생물 이용해 응용 늘린다장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용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고무 손 착각이란 실험참가자에게 고무 손(의수)만 보게 한 채 고무 손과 ‘진짜 손’에 같은 자극을 동시에 주면, 어느 순간 의수를 자기 손으로 여긴다는 유명한 심리 실험이다.김 박사는 절단 장애인에게 고무 손 착각을 일으켜 의수를 자기 손처럼 느끼게 하면,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