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5,1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오랫동안 후보지를 물색해 오던중, 마침내 조건에 딱 맞는 곳을 찾았어요. 적도 부근에 위치한 폴리네시아는 바다가 잔잔해 사람들이 오랫동안 살기에 안정적이거든요.적도는 무척 덥기 때문에 공기가 끊임없이 올라가는 곳이에요. 이 빈 곳을 채우기 위해 북쪽에서는 북동 무역풍이, 남쪽에서는 ... ...
-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오목한 모양의 꽃이 많아요. 위성 접시 안테나처럼 초음파를 한곳으로 모아 박쥐가 꽃의 위치를 잘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지요. 전략 2 환상의 짝꿍이 되어라!전세계 박쥐의 15% 정도는 초음파 능력이 없어요. 열대 과일을 먹고 사는 큰박쥐아목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답니다. 대신 이들은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05
- 이를 호텔링-다운스 모형이라고 하죠.호텔링의 공간모형★ 기업 혹은 가게의 위치에 따라 상품의 가격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하는 모형.모형은 정치적 입장을 선분으로 표현합니다. 각 후보자가 선분 위 한 점을 자신의 입장으로 택하는데, 왼쪽일수록 진보성이 강하고 오른쪽일수록 보수성이 ... ...
- [과학뉴스] 폐에서 혈액도 만든다과학동아 l201705
- 시간 당 1000만 개 이상 혈소판을 생성하는 모습을 포착했다. 거핵세포가 단순히 폐에 위치해 있는 것이 아니라 혈액 생성 기능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또 100만 개 가량 존재하는 폐혈관 바깥쪽에는 혈액 줄기세포가 자리 잡고 있었다.연구팀은 이 쥐의 거핵세포를 혈소판 수가 적은 돌연변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5
- 세포의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바꾼 거죠. 조작된 세포는 인접 세포와 다른 배엽에 위치하게 됐고, 결국은 정해진 운명과 다른 세포들로 분화했습니다. 초음파 검사로도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배아지만, 그 안의 세포들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고, 이런 움직임이 매우 중요하다는 걸 증명한 셈입니다 ... ...
-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위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지름이 2.7m가 넘어서 사람이 바위틈에 쏙 들어갈 수 있을 정도지요. 코에코헤 해변이 위치한 지역의 이름을 따서 ‘모에라키 바위(Moeraki Boulders)’라 불려요. 뉴질랜드의 원주민인 마오리족 사이에는 수천 년 전 뉴질랜드에 도착한 신의 카누에서 떨어져나온 조각들이 모에라키 바위가 되었다는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바로 지구의 자기장 안으로 숨는 방법이죠.보통 우주 정착선은 라그랑주 점에 위치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저희는 지구 자기장 안이 더 좋을 거라 생각했어요. 다만, 우주 정착선이 지구와 가까우면 중력에 이끌려 지구로 떨어질 수는 있어요. 하지만 우리는 우주 정착선을 가볍게 만들어 이 문제도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05
- 수각류 공룡의 역사도 새로 써야 한다. 지금까지 수각류 공룡은 초대륙 중 지구 남반구에 위치했던 고대 대륙 곤드와나에서 진화했다고 알려져 있었다. 가장 초기 공룡 중 하나인 헤레라사우루스의 화석은 모두 아르헨티나 북서부에서 약 2억314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됐다. 하지만 헤레라사우루스가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05
- 않고 들르는 곳이 바르셀로네타 해변입니다. 유전체조절연구소(CRG)는 바로 이 해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방가르드한 타원형 건물을 한눈에 찾을 수 있죠.세계적인 유전체 프로젝트의 허브CRG는 바르셀로나에 유럽 최대의 생의학 분야 클러스터를 만든다는 전략의 하나로 2000년에 설립됐습니다. ...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과학동아 l201705
-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를 위해서는 여러 기술이 필요하다. 멀리 떠 있는 작은 비행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레이더 기술, 새인지 드론인지 판별하도록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형 인공지능기술, 광학기반 영상처리기술, 로봇기술 등이다.레이더 기술로 비행물체를 찾아라현재는 오대건 선임연구원이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