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실"(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04
- 얻는 방향으로 행동하기 마련이죠. 이를 옳거나 그르다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확실한 건 배신이 언제나 이득을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설사 배신이 이득을 가져다 준다고 할지라도 사회적으로 고립된 배신자의 삶은 녹록지 않습니다. 실제 심리적인 고립으로 인한 아픔이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04
- 빠르지도 않은 나이였고, 코쇠의 광산 사망률을 생각하면 위험한 나이였다. 자질은 확실했다. 마키옌데 같은 곳에 있었다면 진즉에 눈 밝은 사람에게 발견되어 입시를 시작했을 아이였다.“우주에 가 보고 싶니?”그가 소금을 보며 물었다. 소금은 그가 내민 서류를 이미 보아 알고 있었다.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04
- 있는지 알고 싶다고 해보자. 그러려면 칼로 피부를 자르고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그런데 이것은 몸에 상처를 내야 하는 ‘파괴적’인 방식이다. 만약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비파괴적’으로 우리 몸 안의 상태를 알 수 있다면 어떨까? 그 해답은 역문제에 있다. 프로파일러는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4
- 바둑에서는 알파고가 사람보다 뛰어난 직관을 보여줬지만, 보다 정밀한 추론이 필요한 불확실한 전장에서도 이런 모습을 보여줄지는 미지수다. 딥러닝 열풍이 불어 닥치는 와중에도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이 개발되지 않은 것은 이런 어려움 때문이다.인공지능은 길을 찾을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03
- 비율은 20만 년에 한 번꼴로 잡음이 이런 중력파 신호로 오인될 수 있다고 알려줬다. 확실했다. 아쉬움이 있다면 버고가 가동되지 않아 중력파원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었다는 점이다. 지구에서 약 410메가파섹(약 13억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태양질량의 36배와 29배인 두 개의 회전하는 블랙홀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03
- 시뮬레이션은 확률분포로 우연한 결과를 나타내주는 방법이다.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한 상황을 미리 실험할 때 사용한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에는 규칙이 없는, 예측할 수 없는 무작위 수가 필요했다. 제곱으로 만드는 난수폰 노이만은 무작위 수를 만들어 내기 위한 알고리즘을 만들어냈다.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03
- 남미를 중심으로 무섭게 퍼지고 있는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거의확실시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제 다음 질문을 던지고 있다. 지카바이러스는 왜, 어떻게 소두증을 일으키는 걸까.“아직 과학적으로 증명되진 않았지만, 지카바이러스와 소두증 사이의 인과관계는 강하게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03
- 의미가 뭔지는 정확히 알지도 못하겠고, 알고 싶지도 않다. 분명한 것은 한 가지로 확실했다. 나는 광속 한계 사회에서 박승휴에게 이번만은 모든 것을 다하여, 대놓고 끝까지 부딪혀 반대해 보기로 했다.나는 주장했다. 아무리 우리가 구질구질하게 오래 버티려고 수작을 부리고 질질 끌며 오래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03
- 2014 Oct;107(4):719-35.). 불확실성을 싫어하는 이들에게 낯선 인간이라는 어마어마한 불확실성이 반가울 리가 없을 것이다.관계에 소극적인 성향은 소득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냉소적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10년 후 소득이 떨어진다는 연구가 있다(J Pers SocPsychol. 2016 Jan;11 ...
- [Editor’s note] 모르는 재미수학동아 l201603
- 다르게 나온다면 재미있다고 생각하기는커녕 어디서 틀렸는지 답답할 거예요.그런데 불확실성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수학자도 있습니다. 계산할 때마다 다른 수가 나오게 하려고 고민하는 거지요. 바로 이번 특집 기사의 주제인 난수입니다. 항상 정확한 결과가 나와야 할 것 같은 수학으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