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정"(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해적 유저 정복하기 2. 숨쉴 공간 마련! 물 쫙 빨아들이는 스펀지의 최소 개수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물과 흐르는 물로 구분되는데, 바다나 강 지역은 보통 고정된 물로만 이뤄져 있어요. 고정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선 물을 양동이로 퍼내거나 다른 블록을 설치한 다음 그 블록을 다시 부수면 돼요. 예를 들어 바닷속에서 한 변의 길이가 10인 정육면체 모양의 빈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양동이로 무려 ... ...
- [특집] 이건 사야 해! 일단 쓰고 보자, 민구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하는 돈이에요. 변동비는 운동화나 장난감을 사는 것처럼 달라질 수 있는 지출이에요. 고정비는 줄이기 어렵지만, 변동비는 줄일 수 있어요. 돈을 쓰기 전에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도 좋아요. 예전에 돈을 쓰고 나서 후회한 적이 있다면 그 경험을 바탕으로 질문을 만들면 돼요. 또, 용돈 ... ...
- 공룡화석이 말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이르러서는 부러져 꺾이고 움푹 들어간 흔적이 뚜렷이 남아있었다. 꼬리를 빳빳하게 고정하던 뼈힘줄 하나도 마른 나뭇가지처럼 45도 가까이 꺾여 있었다. 이 뼈들은 완전히 부러져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아물었다. 상처는 고통스러웠겠지만, 다행히 치명상은 아니었는지 뼈가 부러지고도 살아남은 ... ...
- [광고] 과학덕후를 위한, 과학덕후에 의한 문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제품 기획을 담당한 김민지 기획자는 “이과 과목이 지루하고 재미없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싶어서 통통 튀는 재미있는 디자인을 떠올렸다”고 했습니다. 그 결과 탄생한 노트 앞에는 귀여운 양성자 캐릭터가 찡긋 웃고 있습니다. 뜬금없다는 생각이 드실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양성자는 영미권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처럼 가느다란 센서로 재활 훈련 돕는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몸 안이 미끄럽고 끈적해 잘 붙지 않고, 센서에 구멍을 뚫어 심장 등 표면에 고정시키면서 센서가 손상되기도 한다”고 말했다.그런데 꿰매는 실(봉합사) 자체가 센서라면 어떨까. 이 교수팀은 섬유형 센서를 봉합사 형태로 개발했다. 봉합사 센서는 재활이 필요한 정형외과 수술에서 활용될 수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걷는 방식에 따라 참가자가 에너지를 얼마나 소비했는지 계산한 거죠.그 결과, 팔을 고정하고 걸으면 팔다리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걸을 때보다 에너지를 12% 더 사용한다는 걸 확인했어요. 팔다리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보다 26%의 에너지를 더 썼지요. 연구팀은 ... ...
- 누리호 발사 성공 다음은 달이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탐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에서 개발한 발사체에 달 착륙선을 실어 쏘는 것이 목표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누리호를 달 탐사에 쓰기에는 아직 성능이 부족하다”면서도 “더 큰 발사체를 개발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걸 말해요. 혜성에 폭탄을 설치하는 일은 딱지가 맡았습니다. 정해진 위치에 폭탄을 고정하고 돌아오기만 하면 폭탄이 정해진 시각에 터지게 되어 있었습니다. 딱지는 우주복을 준비하면서 나무 생명체의 삶에 관해 생각했습니다.‘수천 년 동안 한자리에 서서 사는 기분은 어떨까? 할 수 있는 게 ... ...
- [핫이슈] 스파게티 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정도만 확인하세요~수학동아 l2022년 07호
- 탄성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면발들 사이의 간격을 5mm로 고정하는 장치를 3D프린터로 만들었어요. 그리고 조리시간에 따라 면발이 얼마나 팽창하는지, 두 면발이 얼마나 붙는지 확인했어요. 그 결과 반지름이 1mm인 스파게티 면을 30분 동안 물에 삶으니 1.7mm까지 반지름이 ... ...
- [그래픽뉴스] 해가 지지 않는 우주에서 에너지를 얻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모아 레이저로 변환해 전송하는 장치다. 우주에서 생산한 전력을 무선으로 지구의 고정된 지점에 전송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각국이 태양광발전위성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날씨에 제약이 없어 지구보다 발전 효율이 훨씬 높다. 13km 정도 길이의 태양광발전위성은 3GW(기가와트)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