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개
터널
지하도
둥굴
굴혈
소굴
숨는 곳
d라이브러리
"
굴
"(으)로 총 3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붙인 모양이에요. 이후 형태를 간단하게 변형시켜서 지금의 ‘날 출(出)’이 됐지요. ‘
굴
밖으로 한 걸음 걸어 나가다’라는 뜻에서 ‘나가다’를 의미한답니다 ... ...
[이 얼
굴
을 지켜 주세요!] 몸통만 한 집게다리를 가진 흰발농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Crab)’라고 부르지요. 흰발농게는 갯벌에 수직으로
굴
을 파서 숨어 있다가 썰물이 되면
굴
에서 나와 갯벌 진흙에 섞인 ●유기물을 먹어요. 모래와 진흙이 섞인 곳을 좋아해서 갯벌에서도 육지와 가장 가까운 곳에 살지요. ●유기물 : 모든 생물과 생물에 의해 생산된 물질, 생물의 사체 등을 말한다 ... ...
Intro. 킁킁~! 똥냄새가 생존전략? 은행나무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열매에서 지독한 똥냄새가 난다는 거야. 그 냄새가 얼마나 독한지 직접 확인해 보기 위해
굴
밖으로 나왔어. 그 순간, 윽! 고약한 냄새! 내 방귀 못지않게 지독하고 고약하잖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킁킁~! 똥냄새가 생존전략? 은행나무의 비밀Part 1. 똥냄새는 2억 8000만 년 전부터 ... ...
[이 얼
굴
을 지켜 주세요!] 소똥 속에 알을 낳는 애기뿔소똥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해요. 이 기간에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기 위한 준비를 하지요. 먼저
굴
에 있던 암컷은 수컷이 가져온 똥으로 구 모양의 경단을 여러 개 만들어요. 경단이 단단하게 완성되면 암컷은 그 속에 알을 하나씩 낳지요.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경단을 이루고 있는 똥을 먹으며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있어요. 몸을 굽혀 들어가는 구멍이라는 데서
굴
을 뜻하게 됐지요. 발음요소인 ‘굽힐
굴
’은 ‘꼬리’를 뜻하는 ‘尾(미)’와 ‘움푹 팬 곳’의 변화한 모양인 ‘出(출)’로 이뤄져 있어요. 짐승이 움푹 팬 곳에 꼬리를 감아 넣는 모양에서 ‘굽힘’을 뜻하게 됐답니다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하기 위해 바위 틈으로 옮겨 가는 종이 있다”며 “개미와 공생하는 동물들은 주로 개미
굴
깊숙한 곳에 사는데, 개미들이 동면하러 바위 틈에 올라올 때 같이 올라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결국 이 날 이 방법으로는 개미를 찾지 못했다. 일단 무의도 등산로에 큰 바위가 많지 않았다.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목표는 로봇 대결을 새로운 스포츠 장르로 만드는 것이지요. 메가보츠의 로봇 공학자 존
굴
코 박사는 “이글 프라임은 12톤의 무게에 430마력★의 힘을 낼 수 있는 거대로봇으로 자동차를 들어 올리거나 부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마력★1초 동안 75kg의 물체를 1m 움직일 수 있는 일의 크기. 2015년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만드는 역할을 해요. 탄산칼슘은 소라게의 집이 되는 고둥껍데기뿐만 아니라 조개,
굴
등 해양생물들의 골격을 이루는 성분이에요. 즉, 해양 산성화가 심해지면 여러 해양생물들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그 수도 감소할 수밖에 없지요.◀ 우리나라 갯벌에서는 새끼손톱만 한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보호한다”고 말했다. 잘피밭에서는 물고기가 망을 보고 가재가
굴
을 파며 하나의
굴
에서 서로 공생하는 모습을 눈앞에서 목격했다. 수심 10~20m에서 이뤄진 스노클링에서는 화이트팁리프상어와 돌고래를 만났다. 돌고래는 아주 잠깐 동안 물위로 나왔다 들어가는 바람에 연구단 대부분이 보지 ... ...
[가상인터뷰] 산소가 없어도 18분간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8~10cm이고, 몸무게는 30~35g으로 매우 작고 가볍답니다.우리는 튀어나온 큰 앞니로 땅 속에
굴
을 파고 살아요. 마치 개미처럼 여왕 두더지쥐 아래 수많은 일꾼 두더지쥐와 군대 두더지쥐들이 복잡한 사회를 이루며 살고 있답니다. 보통 80마리에서 많게는 300마리까지 모여 살지요.정말 산소가 없는 데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