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귀납적추리
귀납추리
회귀
d라이브러리
"
귀납
"(으)로 총 94건 검색되었습니다.
숲과 인간, 삶의 순환고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구성돼 있다. 그런 생태계의 기초에는 수만가지의 식물사회가 자리를 잡고 있으니
귀납
적으로 식물사회는 인류문화와 문명을 지탱하는 주춧돌이라 할 수 있다.따라서 고대 문명 발상지의 사막화는 인간활동에 의한 식물사회의 집약적 파괴의 결과로 해석되며, 결국 문명·문화의 싹이 되는 ... ...
(2) 다양한 방법론간 경쟁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다시 찾아 연구하는 등 새로운 연구 분위기가 형성되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실험적
귀납
적 확률적 요소를 표방하고 있다. 앞으로 얼마간 서로 다른 방법론간에 경쟁이 있을 것이며 어느 단계에 이르면 통합하여 인류가 오랜 세월동안 그려온 기계적 지능의 1차적 실현을 가져올 것이라고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든다. 진정한 게임프로그램은 자기 학습능력이 있는 프로그램이다.이후에도 러너트의
귀납
적 추리법을 사용하는 베이컨(BACON, 추리법을 발견한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의 이름을 따서)이 개발되었다. 베이컨은 달턴의 원자가설 뿐만 아니라, 천문학적 자료에서 케플러의 제3법칙까지 재발견했다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컴퓨터는 인간에게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행복」까지도 선사할까? 그것은 인간이 활용하기 나름이다. 다른 문명의 이기와 마찬가지로 컴퓨 ... 어떻게 행복을 추출할 것인지는 우리의 과제다. 모든 문제는 항상 인간의 문제로
귀납
된다. 인간이 없으면 악은 없다. 또한 선도 없다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했다. 지금도 인공지능에 관한 많은 논쟁들이 이러한 형태의 전통적인 철학적 문제로
귀납
되는 것을 자주 본다.컴퓨터로 수학의 정리를 증명한 사이먼이에 강력하게 반발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의 주장은 이러하다. "도대체 지능이 뭐냐? 그것은 천사의 선물이 아니다. 꿩잡는 게 매라고, 기계에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NN은 서양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퍼지가 현실적이라면 NN은 이론적이다. 퍼지가
귀납
적이라면 NN은 연역적이다.이렇게 서로 상반되는 면을 가지고 있는 두 이론이 서로 공존할 수는 없을까. 한쪽의 부족한 면을 다른 쪽에서 채워줄 수는 없을까. 양쪽의 연구자들은 퍼지와 NN의 결합이 불가능한 ... ...
PART Ⅲ 지능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의해 추론하고 판단을 내릴 수 있게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능형컴퓨터는 연역추론
귀납
추론 삼단논법을 구사할 수 있게된다.손쉬운 예로 '생물은 죽는다'와 '인간은 생물이다'라는 전제로 '인간은 죽는다'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지능형컴퓨터가 이같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연구팀은 ... ...
잘못 알고 있는 과학지식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실험을 강조하는
귀납
법을 확립, 근대 과학이 발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베이컨의
귀납
법은 데카르트(R. Descartes, 1596~1650)의 수학적─연역적 방법에 의해서 그 문제점과 한계가 지적되기도 했으나 경험주의에 이은 실증주의 인식론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경험주의에 이어 등장한 실증주의가 과학에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합당한 결론이다.그러나 이러한 법칙은 지구에서 관찰하고 실험한 자료를 토대로 한
귀납
법칙일 뿐이다. 따라서 우주 전체에 이러한 비극적인 종말을 선언한다는 것은 어쩌면 우리 인간의 오만일지도 모른다.우주는 너무 넓기 때문에 지구의 예만으로 판단해서 성급한 결론을 내리는 것은 위험한 ... ...
하나의 신약이 나오기까지 0.01%의 가능성을 찾는 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새로운 화학구조를 추리해 내는 것이다. 실제로 과거의 설계 방법은 주로 이러한 경험적
귀납
법이었다.그러나 경험적 방법만으로는 시간과 연구비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약이 인체내에 들어가서 어떤 부위에 있는 어떻게 생긴 물질(수용체·受容体: receptor)과 상호 작용을 해서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