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해낸 것이 ‘끈이론’이에요. 끈이론은 모든 물체의 최소 단위가 점이 아닌 ‘진동하는 끈’이라고 보는 이론입니다. 신기하게도 끈을 기본 입자로 두면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에서 모두 중력을 수학적으로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어요. 1980년대 있었던 이 발견을 ‘제1차 ... ...
- [이그노벨상] 좋은 과학은 웃긴 과학 (일지도 모른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앞으로 한국 연구자들도 이그노벨상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을까? 에이브러햄스는 “단위 인구당 이그노벨상을 가장 많이 받는 두 나라는 영국과 일본”이라 밝혔다. “두 나라에는 엉뚱한 생각을 밀고 나가도 용인해주는 분위기가 있는 걸까요?”라며. 물론, 한국인 수상자가 적다고 좌절할 필요는 ... ...
-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023년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로 아토초(100경분의 1초) 단위의 짧은 펄스를 만들어 전자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기여한 세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더 짧고, 더 강한 레이저는 원자에서 아주 빠른 속도로 벌어지는 현상을 관측하고 우주 초기의 극한환경을 연구하는 등 현대 과학의 다양한 질문을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상향식으로 더 자유롭게 구현하는 데 가장 이상적인 형태는 뭘까요? 바로 가장 작은 생산 단위인 점과 같은 형태의 분말일 것입니다. 다행히 분말은 고분자, 금속, 세라믹 같은 재료로 구현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게다가 열역학적으로 그 재료를 녹일 수 있는 에너지의 크기와 주입한 에너지를 분말이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중력렌즈의 허상을 담았다. 제임스 웹은 에렌델의 밝은 점이 퍼진 영역이 최대 4000AU(천문단위·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불과 0.06광년으로, 천문학적으로 아주 좁은 영역이다. 이 좁은 영역에서 빛난다는 것은 이 지점이 독립된 별 하나임을 보여준다. 에렌델은 ... ...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현대 수리물리학의 주요 연구 주제인 ‘끈 이론’을 연구합니다. 끈 이론은 우주의 기본 단위가 입자가 아닌 끈 형태를 띤다는 이론이에요. 이는 우주의 기원에 얽힌 비밀을 밝힐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민주주의에도 수학이 필요투표와 대표제의 수학이스마 볼리치 미국 웨슬리대학교 교수 및 ... ...
-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해 설탕을 우선 물에 녹이는데요. 물에 녹았다는 건, 설탕의 최소 단위인 분자가 자유롭게 물에 흩어져 있다는 걸 뜻합니다. 잘 섞은 설탕물에 열을 가하면 그때부터 화학변화가 생깁니다. 물이 증발되면서 설탕의 탈수화가 진행됩니다. 포도당과 과당이 이당류 상태를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가지고 연구를 시작했다. 륄리에 교수의 연구 덕에 빛의 파동을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단위로 생성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그다음 질문을 넘겨받은 건 피에르 아고스티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였다. 그는 2001년 이렇게 생성된 빛의 파동을 250아토초 동안 지속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페렌스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게이트를 구현하기도 했다. 단일 원자 전자스핀 플랫폼은 큐비트 간 정보 교환을 원자 단위에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별 큐비트의 크기가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이하인 가장 작은 크기의 큐비트를 이용해 양자집적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큐비트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새로운 도구를 개발한 과학자들이 수상했다. 순간 포착은 아토초(100경분의1초)단위로 빛의 파동을 발생시킴으로 가능했다. 2023년 노벨상 수상자들이 수십년 전 연구의 첫 발을 떼고 인류에 공헌하기까지, 그 위대한 여정을 각 분야 전문가와 함께 살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노벨상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