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쌀
답곡
나록
밥
수도
d라이브러리
"
벼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내린다입하 5월 6일경 여름이 시작된다소만 5월 21일경 여름 기분이 난다망종 6월 6일경
벼
를 심는다하지 6월 22일경 낮이 가장 길다소서 7월 7일경 더워지기 시작한다대서 7월 23일경 몹시 덥다입추 8월 8일경 가을이 시작된다처서 8월 23일경 더위가 그친다백로 9월 8일경 흰 이슬이 내린다추분 9월 23일경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모심기를 할 때 갈치가 가장 많이 소비됐다는 기록이 나온다. 실제로 시골에서 모심기나
벼
베기 같은 큰 행사가 있으면 어김없이 갈치가 주요 메뉴로 등장했다. 여기에다 갈치창자젓과 막걸리 한 사발을 곁들이면 최고의 논두렁 식사가 됐다. 갈치는 어떻게 최고의 인기 생선이 될 수 있었을까.돈을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더 빨리 수확할 수 있는 보리 품종을 개발하려고 노력해왔다.국립식량과학원
벼
맥류부 최재성 연구관은 “육종 결과 겉보리와 쌀보리는 5일, 맥주보리는 10일씩 성숙기가 빨라졌다”며 “이와 함께 수확량 증가도 육종의 큰 성과”라고 말했다.보리는 원래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쌀에 비해 떨어지기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운반이나 저장에 적합한 품종 등 다양한 신품종이 탄생했다.한일강제합병 당시 한국의
벼
생산량은 300평(약 990㎡)당 120kg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같은 면적에서 무려 4배가 넘는 약 500kg이 생산된다. 토지생산성이 이렇게 획기적으로 증가한 것은 새로운 품종 육성과 재배방법 개선 덕분이다.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논농사에 적합한 따뜻한 곳을 찾아 ‘남쪽’으로 이동했다. 또 그 시대의 지층에서
벼
이삭을 자를 때 사용했던 청동기 시대 유물인 반달돌칼과 삼각형 돌칼도 발견했다. 그때쯤 논농사가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것이다. 이는 꽃가루 화석으로 알아낸 논농사 시작 시기(약 3500년 전)와 엇비슷하게 ... ...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한국의 귀화식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마디꽃, 바람하늘지기와 같이
벼
가 들어 올 때 함께 들어 온 남방 식물이나 수영, 냉이,
벼
룩이자리, 쇠별꽃 같이 중국을 통해 들어 온 유럽 식물은 자리 잡은 지 오래되어 이제 귀화식물로 분류하지도 않는다.흥미롭게도 귀화식물의 역사와 인간의 역사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개항 이전에는 ... ...
침투이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수학 모델을 만들기 쉽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식물과학과 윌프레드 오텐 교수팀은
벼
나 옥수수에서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키는 곰팡이인 라이족토니아(Rhizoctonia solani)의 확산 패턴을 침투이론으로 설명해 2004년 식물학 저널인 ‘뉴 피톨로지스트’에 발표했다.라이족토니아는 균사를 통해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광합성의 비밀은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그런데 최근 그 비밀에 대한 단서가 제시됐다. 현대물리학의 한 축 ...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C4
벼
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 ...
C4
벼
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필리핀 로스바뇨스에 위치한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는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대비해
벼
의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우리나 ...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C4
벼
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약 36억 년 전 광합성을 하고 부산물로 산소를 발생시키는 박테리아가 나타났고 그 뒤 이 박테리아를 포획해 세포내소기관인 엽록체로 만든 ... 현재진행형인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C4
벼
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