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물고기의 특별한 GPS 세포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장소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소 세포는 특정 장소를 기억할 때 활성화되는 뇌
신경
세포다. 연구팀이 뇌 모니터링을 통해 살펴본 결과, 어류의 뇌에서는 장소 세포 특유의 신호를 찾기 힘들었다. 대신 금붕어의 뇌에서는 ‘경계 벡터 세포’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경계 벡터 세포는 자신과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모기가 날아다니다가 바로 떨어져 버리고 마는 모습을 본 적 있을 것이다. 이 살충제가
신경
계를 마비시키는 ‘빠른 독’이기 때문이다.이처럼 살충제는 편리한 무기다. 뿌리면 즉시 효과가 나타난다. 하지만 편리함 뒤에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유전적 변이 덕에 살충제를 맞고도 ... ...
[이그노벨상] 롤러코스터와 아이스크림으로 질병을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페스미어 미국 테네시대 의대 교수가 수상했다. 그의 업적은 항문에 손가락을 넣어
신경
을 자극해 끊임없이 계속되는 난치성 딸꾹질을 치료한 것이었다. doi: 10.1016/s0196-0644(88)80594-8 2014년에는 혈소판 기능의 장애로 끊임없이 코피를 흘리던 4살 아이의 코를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로 막아 코피를 ... ...
[이달의 책] “과학은 나침반보다 집에 가깝습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개성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당신은 판단했습니다. 그리고 그 판단 자체는 당신의
신경
다양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용기라고 생각했습니다. 당신이 어린 시절부터 가진 용기의 근원은 무엇인가요? 제가 지닌 용기의 원천은 가족과 그들의 의지, 관대함이었습니다. 가족은 제가 ... ...
울퉁불퉁 지문에겐 다 계획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박성준 교수팀은 사람의 지문을 모방한 인공 피부 시스템을 공개했어요. 사람의 촉각
신경
시스템을 모사해 정확하고 현실감 있는 인공 감각을 구현한 거죠. 연구팀은 인공지능 계산을 활용해, 사람이 촉각을 느끼는 과정을 기계와 전자 장치에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박성준 교수는 “인공 지문을 ... ...
[제2회 SF숏포머블 공모전 수상작] Dear My PI
수학동아
l
2023년 07호
가능성과 웅장함이 우주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고 생각해서 그 둘을 연결하는 데 가장
신경
썼어요. Q. 작품을 그리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렸나요? 초반 스토리를 구성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렸어요. 원주율과 우주 관련 자료를 찾아보고 고민하느라 3주 정도 걸렸지요. 제 만화의 키워드인 ... ...
[과학뉴스]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 ‘식탐’도 조절해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신경
세포에도 작용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며 “과식과 같은 병적인 식습관의
신경
학적 원리를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발생시키는 필름 형태의 센서를 만들었다. 또한 센서의 신호를 실제
신경
세포에 연결해
신경
세포와 센서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들었다. doi: 10.1126/science.aaa9306 이를 발전시키면 앞으로는 실제 피부와 동일한 원리로 촉감 신호를 느낄 수 있는 사이보그 인공피부를 만들 수 있다. ... ...
[가상 인터뷰] 쥐의 뇌 시상하부에서 거울 뉴런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그중에서도 거울 뉴런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직접 그 행동을 할 때 작동하는
신경
세포지. 옆 사람이 하품하면 따라 하게 되는 것도 거울 뉴런이 반응하는 대표적인 현상이야. 그럼 거울 뉴런 때문에 쥐들이 싸운 거야? 맞아. 그런데 조건이 있어. 연구팀이 불을 끄자 싸움을 지켜보던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할 것이다. 바야흐로 뇌과학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
신경
발생학 분야를 연구하며, 특히 뇌 오가노이드를 만드는데 관심있다. 저서로 '나는 뇌를 만들고 싶다'가 있다. woongsun@korea.ac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