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심리"(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준하의 고민 │친구 쉽게 사귀는 법을 알려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적은 친구가 있어도 말이지요. ‘내 친구 수≤친구들의 평균 친구 수’ 이게 바로 미국 심리학자 스콧 펠드가 발표한 ‘우정의 역설*’이에요. 남과의 비교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자신감 있게 친구에게 다가가세요! 용어정리 *역설 : 말이 안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 ... ...
- [수학뉴스] 어릴 때 공간추론능력이 수학 실력 결정한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실력에 영향을 준다는 최근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벵케 뫼링 스위스 바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팀은 스위스 바젤에 사는 만 3세 586명을 대상으로 공간추론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연구팀은 색깔이 있는 큐브를 특정 모양으로 배열하는 과정을 만 3세부터 만 7세까지 15개월 ... ...
- [JOB터뷰] 프로파일러, 배우로 2막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Q프로파일러에 어떻게 도전하면 될까요?프로파일러가 되려면 대학에서 사회학이나 심리학을 전공해야 하는 자격 요건이 있어요. 하지만 어릴 땐 지적 호기심을 갖고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면 해요. 프로파일러는 세상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알수록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어 유리하거든요. ... ...
- [수학뉴스] 코로나19로 인한 피로도의 영향 연령별로 다르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의료수학연구부 수리모델링팀 팀장은 “수학 모형은 피로도나 심리적 요인과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도구로, 수학 모형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현상을 분석하고 정책을 수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 ...
- [매스크래프트] #20. 오싹! 귀신의 집보다 더 무서운 비둘기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셀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2011년 당시 데미안 스카프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비둘기에게 도형이 각각 1개, 2개, 3개 그려진 그림을 보여주고 비둘기가 작은 수에서 큰 수 순으로 그림을 부리로 쪼면서 숫자를 익히는 실험을 진행했어요. 성공하면 보상으로 먹이를 ... ...
- [핫이슈] 축구 경기에 응원 효과? 있다 vs 없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사람이 한 팀을 응원하면 심판이 심리적으로 압박을 받는다고 해요. 영국의 스포츠 심리학자인 앨런 네빌 울버햄프턴대학교 연구원은 관중의 함성이 심판 판정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해봤어요. 영국 프로축구리그인 프리미어리그 47게임을 분석한 결과 홈팀 선수는 상대 팀 선수보다 파울을 15% ... ...
- [기획] 가짜뉴스, 너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대표적인 매체는 유튜브입니다. 2019년 한국방송학회와 한국심리학회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유튜브와 정치 편향성, 그리고 저널리즘의 위기’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그곳에서 이상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는 20대 이상 성인 520명을 설문조사한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수리부엉이, 6개월 간의 육아일기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안정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새끼들은 박제된 수리부엉이의 품에 파고 들었다. 심리적 안정을 얻고 있다는 증거였지만 마냥 기뻐할 순 없는 모습이었다. 참으로 안타까웠다.먹이를 줄 때도 수리부엉이 박제를 활용했다. 사람은 우비와 마스크로 모습을 숨기고 어미가 부리로 먹이를 넘겨주듯 ... ...
- 여름방학 나들이, 수학문화관에서 즐겨요!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더위를 피하는 건 어때요? 4차원 도형을 직접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있다면? MBTI 검사처럼 수학 심리 검사를 받을 수 있다면? 학교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수학 놀이가 수학문화관에선 가능하답니다. 우리 집 근처에는 어떤 수학문화관이 있는지 찾아볼까요? ▲ 고화질은 PD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매스크래프트] #19. 공평하지 않은 승부차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나온 거죠. 이그나시오 교수는 먼저 공을 찬 팀이 골을 넣으면 나중에 차는 팀의 선수는 심리적 부담이 커져 성공률이 낮아진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7년 U-20 월드컵에서는 일명 ‘ABBA’라는 규칙이 도입됐습니다. 기존에는 ‘A-B-A-B’ 순으로 각 팀의 선수가 번갈아 가며 공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