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체
용체
물
처리액
조제액
물약
용제
d라이브러리
"
용액
"(으)로 총 75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이트데이엔 직접 키운 ‘락캔디’로~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입자가 끼어들면서 설탕 분자끼리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감소합니다. 과포화된 설탕
용액
의 농도를 조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김우식 경희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결정을 빠르게 만들기 위해서는 사탕이 성장하는 만큼 설탕을 조금씩 추가하거나 용매를 증발시키면 된다”고 조언했습니다.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만들어 봤습니다. 일단 준비물은 설탕과 물, 나무막대면 됩니다. 그리고 과포화된 설탕
용액
에 결정핵을 넣어 결정화를 유도하면 됩니다. 레시피가 참 간단하죠? 그런데 말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화학공학과 교수님의 자문도 얻고 몇 번의 시행착오도 거쳐 결국 성공했습니다. 올해 화이트데이에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한천은 수분을 머금으며 탄력을 갖는 3차원 구조의 젤로 바뀌어요. 원하는 모양의 틀에
용액
을 넣어주고 식히면 나만의 개성있는 물방울 젤리를 완성할 수 있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섭섭박사님의 친구들은 섭섭박사님을 ‘잠수함’이라고 놀려요. 물에만 들어가면 잠수함처럼 물속으로 쑤욱 들어가서 빠져 나오질 못하거든요. 하지만 여 ... 즉, 식용유와 밀도가 비슷해지는 거죠. 그러면 실험처럼 식용유는 뜨지도, 가라앉지도 못하고
용액
중간에 둥둥 떠 있답니다 ... ...
[실전! 반려동물] 거북의 등딱지가 파였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상처 부위가 좁고 증세가 심하지 않을 경우 등딱지의 물기를 닦아낸 후, 빨간 요오드
용액
을 바르는 것으로도 금세 나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세가 심하면 꼭 동물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한편 육지거북의 등딱지는 먹이의 단백질 양에 영향을 받습니다. 사료에 단백질이 너무 많거나 칼슘이 ... ...
[통합과학교과서] 부자가 된 흥부의 의뢰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메탄올을 섞어 만들어요. 주로 미생물 번식을 막는 방부제로 쓰이지요. 과학실에서는 이
용액
에 생물표본을 보관한답니다. 이날도 과학실 싱크대 밑에 있던 생물표본 1.5L 병을 옮기던 중 병의 윗부분이 깨지며 포르말린이 밖으로 유출됐어요. 포르말린은 자극적인 냄새를 지녔으며 휘발성이 강해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된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돼지의 뇌세포에 특수
용액
을 주입하자 뇌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뇌세포에서는 6시간 동안 활성 신호가 포착됐습니다. 비록 고차원적인 뇌 고유의 기능을 재생시키지는 못했지만, 한번 망가지면 재생할 수 없다고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합성한 사람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마이클 패러데이다. 그는 1857년 염화금
용액
을 인으로 환원시키는 반응을 통해 최초로 금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여러 학자가 금 나노입자를 이용해 빛의 산란을 연구했다.현재 금 나노입자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크기와 모양을 원하는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결정의 비율이 달라지면 식감의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을 만들 때는 증점제(
용액
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잔탄검(Xanthan gum) 성분의 증점제를 넣으면 아이스크림의 점성이 커져 유통과정에서 온도가 내려가도 형태를 유지해 식감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71.5%가 열알칼리성 분리 접착제가 아닌 일반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수산화나트륨
용액
을 이용한 라벨 제거 방식이 폐수 등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공장 근로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강성규 가천대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산이나 염기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