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갈"(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큐리오시티가 보낸 첫 번째 컬러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카메라로 찍은 사진 130장을 이어붙인 것의 가운데 부분이지요. 사진에는 붉은 색을 띠는 자갈밭이 분화구 끝까지 펼쳐져 있어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자들은 화성이 지구에 있는 모하비 사막(미국)과 많이 닮았다며 놀라워하고 있답니다 ...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편이야. 하지만 물이 쫙 빠지는 썰물 때는 작은 게를 잡거나 조개를 캘 수 있을 정도로 자갈밭이 드러난단다. 이 때는 돌에 달라붙은 굴과 조개를 캘 수도 있고, 돌 밑에 숨은 게도 잡을 수 있지. 어떤 간 큰 게는 천문대가 있는 학교 안으로 들어와 적당한 돌 밑에서 지내기도 하더라고.섬이라서 ...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도구가 쥐어졌다.우리가 한 체험은 공룡 뼈 주위를 파는 단계다. 뼈 화석 주위의 모래와 자갈 등을 제거하고 화석 형태 그대로 지표면에 드러내는 일이다. 화석을 발굴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망치와 정을 사용한다. 동행한 데이비드 주립공원 연구원이 조심스럽게 설명했다. “정을 지층과 거의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지질학자들의 필수품인 확대경(MAHLI)도 갖고 왔다는 말씀. 확대경으로 화성 암석, 표면의 자갈, 먼지 등 광물의 질감이나 구조를 가깝게 볼 수 있다. 4cm 범위의 물질을 자동초점으로 확대해서 보여준다. 머리카락 굵기보다 얇은 12.5μm(마이크로미터) 크기인 물질의 컬러 이미지를 찍는다. 거의 현미경 ... ...
-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사해 밑바닥 퇴적층에서는 12만 년 전에 사해 물이 말랐음을 증명하는 45m의 소금층과 자갈층이 발견됐다.연구진은 사해가 완전히 마르면서 남긴 소금의 양이 현재 사해를 증발시키고 생기는 소금의 양과 비슷할 것이라고 설명했다.특히 사해의 고도는 지난 2008년 해수면 아래로 421m 이상 낮아졌는데 ... ...
- 숲속의 보물, 버섯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상처를 내면 흰 유액을 뿜어내는 후추젖버섯. 독버섯 중 하나다. 독버섯의 일종인 자갈버섯. 사람의 대변을 양분으로 자라는 경우가 많다. 사람이나 동물이 밟아야 포자를 날릴 수 있는 말불버섯. 독버섯인 어리알버섯과 닮았다. 예쁜 주황색을 가진 황고무버섯. 축축한 고목에서 자라는 작은 ...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열고 닫을 수 있어 신고, 벗기가 편하다.아웃솔(밑창) 조정 장치미끄러운 빙판이나 거친 자갈밭 등 다양한 환경에 맞게 신발 밑창을 조정할 수 있다. 전기 발생 장치와 태양열 자가 발전 시스템발이 신발에 미치는 압력과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바꿔 전기 기구를 작동하거나 충전할 수 있게 한다.MP3 ...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검은 점이 있고, 자갈이 많은 큰 강에 산다. 구덩이를 파서 알을 낳고 모래와 자갈로 산란탑을 쌓는다.열목어몸 전체가 은색이며, 작은 반점들이 있다. 여름에는 차갑고 깊은 물속에, 가을과 겨울에는 얼음 밑에 산다.민물고기 중에서도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사는 고유종이 있어요. 특히 ...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부장은 동아일보 특파원과의 인터뷰에서 “2005년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자갈을 쓰지 않는 노반 조성은 한국이 개발한 것을 배워온 것”이라며 한국의 고속철도 기술을 칭찬했다.시스템 갖춰야 안정적 운행 가능열차의 전력공급 시스템도 중요하다. 새마을호나 무궁화호는 모두 디젤 엔진을 ... ...
- 귀납적 탐구와 연역적 탐구의 선택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이 펼쳐져 있습니다. 평소 그냥 스쳐지날 수 있는 광경이지만, 학생들은 자갈마당에 있는 자갈의 크기에 대해 의문을 품었습니다. 그리고 귀납적 방법과 가설연역적 방법의 두 가지 탐구과정을 거쳐 그 답을 얻으려고 노력했습니다. 두 가지 탐구과정의 차이점을 알아봅시다. 어떤 방법으로 탐구하는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