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상"(으)로 총 1,9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잡음’을 제거하는 일도 중요하다. 뮤온은 엄지손톱만한 면적을 기준으로 생각했을 때 지상에선 초당 1개씩 통과한다. 그리고 예미랩에선 분당 0.00000001개 통과한다. 잘 막아냈지만 AMoRE-Ⅱ 실험을 하기엔 부족하다. 때문에 AMoRE-Ⅱ 실험장치는 2층으로 구성돼 있다. 1층엔 검출기, 2층엔 스테인리스 ... ...
- [특집] 해저 도시 로봇이 짓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등 KIOST가 자체 제작한 수중 로봇 모델들이 대거 투입될 예정”이라고 말했어요. 이어 “지상에서 모듈을 완전히 조립한 뒤 해저에 내리는 방법과 해저에서 로봇을 이용해 모듈을 하나씩 조립하는 방법이 있다”며 “둘 중 더 효율적인 방법, 혹은 더 나은 개선안이 있는지 꾸준히 연구한 뒤 2025년에 ...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다른 환경을 가진 행성에서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한 조건을 연구하고 있다. 지하 공간은 지상의 미생물이 살지 않고, 온도나 습도 등 환경조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화성 탐사 기술도 개발 중이다. 독특한 암석이나 미량 가스가 존재하는 지하 공간에서 임무를 시뮬레이션 하며 필요한 장비나 채굴 ... ...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건물이 해상과 연결되고 에너지를 외부에서 공급받는 유형 1, 건물은 해상과 분리되지만 지상의 에너지를 끌어다 쓰는 유형 2, 건물이 해상과 연결되었지만 에너지는 자체 생산하는 유형 3과 마지막으로 건물이 해저에 독립된 채로 에너지도 자급자족하는 유형 4로 나뉘죠. 현재 관광용 해저 ... ...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드디어 밝혀진 소녀의 정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살아남은 사람에게 문명을 전파하기 위해 인공지능은 주기적으로 안드로이드를 지상으로 보냈다. 고대인은 이 안드로이드에게 ‘◯◯’라는 이름을 붙였다. 수수께끼를 풀다 우연히 나온 ‘◯◯’라는 답을 알아챈 소녀는 자신이 어떻게 해야 할지 깨닫는다.‘강력한 무기가 한 사람의 손에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있다”며 “예를 들어, 도시에 공원을 만들 때 지하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시설과 지상에는 대피소를 만드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녹지를 많이 확충해야 폭염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이 부연구위원도 “녹색이 하나도 없이 건물이 빽빽한 저지대 주택은 피해야 한다”며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종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찾았다. 논문을 보니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지상 생태계와는 다른 희한한 모기들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 땅속에서 진화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볼 수 있잖아요. 이런 게 소설의 소재가 될 수도 있는 거죠.”곽 작가는 최근까지도 탄탄한 과학적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고이는 빗물을 지하의 하수관로로 흐르게 한 다음, 반포천 유역의 빗물펌프장에서 지상으로 끌어올린다. 그다음 반포천에 방류하는 식이다. 그러나 강남대로 인근 저지대의 하수관로는 펌프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반포천으로 흐르도록 설치돼 있었다. 이렇게 되면 높이 차 때문에 하수관로에 찬 ...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경로로 가지 않고 탄도형 달 전이궤적으로 항해하는 덕에 약 150만 km 떨어진 심우주에서 지상국과 통신 기술을 검증할 기회도 생겼다. 박 선임연구원은 “항법, 통신기술, 궤적 설계 기술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 장”이라며 “달에서 1년간 과학임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해야 정말 성공이라고 할 수 ... ...
- 누리호 발사 성공 다음은 달이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여러 파장대의 빛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초분광카메라로 지구를 관측할 예정이다. 지상의 물체는 물론 땅속 광물, 농작물 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반가운 소식이 연이어 들려왔다. 7월 3일 사출된 스누글라이트-2가 양방향 교신에 성공한 것이다. 앞으로 정밀 GPS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