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투과"(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외부에서 산소가 들어오면 산소에 의해 이들이 변성되고 맥주 맛을 잃는다. 그래서 산소 투과도가 낮은 나일론 필름을 페트 사이에 끼우는 것이다. 갈색을 넣은 이유 역시 햇빛의 자외선 등에 의한 단백질 변성을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런 삼중 구조는 재활용에는 걸림돌이다. 권 대표는 “삼중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물질을 투과하지 못하고 전반사 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초냉중성자가 투과하지 못하는 물질로 병을 만들어 놓으면, 그 안에 초냉중성자를 가둘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붕괴되지 않고 남아있는 중성자의 개수를 셀 수 있다. 사실 더 완벽한 방법으로, 진짜 병이 아닌 자기장과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잡혀있는 상황을 로봇(R2-D2)을 통해 홀로그램으로 전달했다. 문 교수는 “빛이 물체를 투과할 때 물체를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회절 패턴이 달라지고, 이를 카메라로 찍어 입체적으로 복원하면 홀로그래픽 영상을 만들 수 있다”며 “이를 세포에 적용하면 세포 내부의 유전물질이나 단백질에 따라 ... ...
- [통합과학 교과서] 형의 집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12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병일 교수팀은 광섬유 대신 아크릴을 사용해 빛은 그대로 투과하면서도 비교적 싼 콘크리트를 발표했어요. 이름은 ‘빛감성 친화형 콘크리트’지요. 만드는 방법도 리트라콘과 똑같아요. 틀에 광섬유 대신 아크릴 봉을 고정시키면 되지요. 아크릴은 깨지기 쉬운 광섬유에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로버·초음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태아 영상이에요. 초음파 영상은 1 ~ 30MHz의 진동수를 갖는 초음파를 인체 안으로 투과시킨 뒤, 장기나 태아 등 내부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를 영상으로 만든 것이랍니다.또, 안경을 세척할 때도 사용돼요. 물속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음파의 진동으로 많은 거품이 발생해 그 결과, 물체 표면에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전도도가 뛰어날 뿐 아니라 투명하고 스트레처블한 전극을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투과도는 90% 이상이고, 길이를 70%까지 늘이거나 줄여도 저항의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미래 전자기기용 소자로 그물 구조와 함께 재료로는 은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입니다. 스트레처블 투명 전극은 어디에 ...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땅에서 더 멀리 떨어져요. 땅속의 유적을 찾기 위해서는 전파로 땅속을 조사하는 ‘지표투과 레이더’를 사용하기도 해요. 이 레이더는 땅속을 3차원으로 검색할 수 있어 지하 유적의 형태까지 알 수 있지요. 넓은 지역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아예 높은 곳에서 드론이나 비행기, 인공위성이 찍은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대표적인 한계점이 적용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가 좁거나, 전자기파(또는 음파)가 투과될 수 있는 방향이 좁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들은 관점에 따라 장점이 될 수도 있다. 하나의 주파수에만 적용되는 필터를 만들거나, 단일 방향에만 집중할 수 있는 음파 수집기 등을 만들 수 있다. 메타물질에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되돌아와야 한다”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강화필름을 붙일 경우 초음파가 투과해야 할 층이 두꺼워져 송수신 감도가 크게 낮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는 초음파를 만드는 전극 유전체와 외부 힘에 따라 전기적 변화를 일으키는 압전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 ...
- [과학뉴스] 체온 따라 열 조절하는 섬유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효과가 발생한다.뿐만 아니라 코팅된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전자기 결합이 바뀌어 적외선 투과성이 변한다. 평소 2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다가 온도나 습도가 올라가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10μm 이내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전자기 결합이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