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모금"(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화도에 있는 절, 전등사에 갔다왔습니다~!! 그곳을 가니까 역시 봄이라 그런지 꽃이 많이포스팅 l20150505
- 강화도에 있는 절, 전등사에 갔다왔습니다~!! 그곳을 가니까 역시 봄이라 그런지 꽃이 많이 피어있었습니다~^^ 가서 꽃도 보고 모금도 하니 기분도 좋아지고 전등사가 산에 있어서 되게 공기가 좋아 상쾌하기도 했습니다~~^^ 간단하게 들르시는 곳으로 전등사를 추천합니다!!bb ...
- '사랑의 온도탑' 100.5도 되다.기사 l20150204
- 1%인 32억 6800만원이 모금될때마다 1도씩 오릅니다.이번 모금의 특징은 기업 기부가 줄고 개인 기부가 늘었다는 점입니다. 캠페인 모금액(3284억원) 가운데 개인 기부가 1040억원으로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는데, 이는 전년도보다 44% 늘어난 금액입니다. 한편 기업들은 불황탓에 전년도(2451억원)보다 207 ...
- 제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꿈나무 창작 실험실에 참여해 보았어요. 그 체험에서는포스팅 l20150110
- 대해서 알아 보고 행복을 만드는 텃밭이라는 공예품으로 만들어 내었어요. 여러 사람에게 행복을 줄 수 있고 도움이 되는것으로는 모금,기부 활동,아이스버킷 챌린지,플래시몹 등이 있었어요. 저는 항상 '행복'하면 항상 제가 행복할수 있는 것만 생각 났는데 이걸 배움으로 제가 아닌 남의 행복도 생각하게 되었어요. 여러분도 자신만의 행복 만을 생각하고 ...
- 처음으로 참가한 청소년문화재지킴이 기자단 활동> 어제 동아사이언스에서 처음으로 참가한 이번포스팅 l20141130
- OX 퀴즈도 하고 즐거웠다. 문화유산국민신탁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는데 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문화유산을 매입하고 활용하는 기금모금도 하신다고 한다.. 영국의 National Trust 운동과 같은것인데 그것은 산업혁명으로 철도산업이 발전하고 문화재와 자연환경이 파손되자 방치하지 말고 이를 지키자는 운동이라고 하셨다. 이번에 다녀온 홍릉은조선 26 ...
- 저희 학교 어떤 오빠의 친누나가 희귀 난치병이라고 하네요...8월달부터 고생을 해왔지만 아포스팅 l20141114
- 학교 어떤 오빠의 친누나가 희귀 난치병이라고 하네요...8월달부터 고생을 해왔지만 아무도 모르고있었답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모금운동을 하고있습니다.. 8개의 병원 모두 거절을 했어요...부담스럽다고...그게 뭐라고...부담스러운게 뭐라고 하...힘내라는 말 한마디씩만 해주세요 저 정말 힘들어요 티비나 신문에서만 보던 일이 진짜 일어나다니...저도 ...
- 10월16일 11시~20시 까지 김천시장애인복지센타에서 봉사자들의 자발적인 봉사로이루어진탐사기록 l20141018
- 10월16일 11시~20시 까지 김천시장애인복지센타에서 봉사자들의 자발적인 봉사로이루어진 먹거리장터 행사가있었습니다.이행사는 장애인에대한 편견과 장애인을위한 시설에 대한 모금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집니다. 작은관심과 배려로 더불어 행복한 실천의 현장입니다. ...
- 바닷물로 농사를 짓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만든 물이에요. 자, 이장님, 마셔 보세요.” “응? 나 마시라고~?” 의심 많은 이장님, 하는 수 없이 물잔을 받아 든다. 조심스럽게 한 모금…. “꽥…, 이게 무슨 맛이여~? 짜잖여! 먹으면 큰일나는 거 아니여? 아이고 나 죽네, 나 죽어~!” “흠…, 첫 실험은 실패군요. 아무래도 기술을 더 갈고 닦아야겠어요. 그건 그렇고, 닥터고글 씨? ...
- 조선시대 수라간 궁녀를 만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070629
- 마셔도 되나요? 궁녀 : 절대 안 됩니다. 임금님이 드실 음식을 먹다니요! 지금 저녁 시간이라 바쁘니 이제 물러들 가세요. 기자 : 흥, 한 모금도 안 주다니…. 여러분도 초계탕과 제호탕 맛이 궁금하시죠? 만들기 어렵지 않다고 하니, 여름방학 동안 한번 만들어 보는 게 어떨까요? 저도 도전해 보겠습니다. 이상 조선시대 수라간에서 이혜연 기자였습 ...
- 특집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2어린이과학동아 l20050629
- 오실 뻔했던 숨겨진 이야기를 들려 주세요. A : 나는 예루살렘에 유대인을 위한 대학을 짓기 위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강연을 하며 모금활동을 벌였지. 그래서 노벨상을 타게 됐다는 소식도 1922년에 일본으로 향하고 있던 배 위에서 들었단다. 그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국도 겨레의 혼을 길러 줄 민립대학의 설립을 추진하고 있었고 나를 초청하려 ...
이전56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