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젓가락"(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라임 재료를 알아보고 만들어 보자!기사 l20201214
- 3. 나머지는 젓가락으로 휘젛으면서 녹여줍니다. 4.물풀을 준비합니다. 5.물풀을 만든 양의 1/3, 1/2 정도 넣습니다. 6. 젓가락으로 잘 섞어줍니다. 이렇게 7. 일단 베이킹 소다 또는 소다를 1꼬집 넣습니다. (원하시는 만큼 넣어주세요. 단, 한꺼번에 많이 넣 ...
- [요리] 11.23~11.27 주중 혼점 보고포스팅 l20201128
- 둔 마데카솔을 차 안에 빠뜨렸었습니다. 나오고 있었기에 빨리 꺼내려고 손을 집어넣었는데 2트 모두 실패하고 모나미 프러스펜 2개로 젓가락을 만들어 급히 꺼냈습니다. 바보같네요. 11.27 금 / 냉동 곤드레밥과 수요일에 남은 스팸과 머랭쿠키와 동백꽃차 별점 4/5 맛있었습니다. 블렌디드 티(벚꽃차랑 동일) 이라는 동백꽃차는 향이 굉장 ...
- 소소한 토요일 아침1- 핫케이크 만들기기사 l20201114
- 않도록 주의해주세요.(달걀은 날달걀 쓰셔야 되는 거 아시죠?^^) 2단계. 이 그릇 안에 있는 것을 모두 섞어주세요~ 섞을 때는 젓가락으로 살살 풀어주세요. 3단계. 섞을 때 매우 퍽퍽하고 잘 안 섞어질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우유를 한 스푼 조금 안 되게 넣으시면 돼요. 4단계. 덩어리가 없고 묽은 상태가 될 때까지 섞어주세요 ...
- [요리](스압) 고양이도 따라할 수 있는 2시간 머랭쿠키포스팅 l20201027
- 흔적ㅇㅣ 남아있는 에어후라이기 종이호일을 까는데?? 다시 뜯었습니다 일케 깔고 한일케씩 배스킨 숟가락으로 떠서 젓가락으로 삭 하고 빼내서 올려줍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모양 색 안중요하고요 만드는게중요한겁니다 그리고 100도로 60분동안 굽는데(60분이 맥스) 한 5분 굽다가 네이버 다시 둘러보니까 100도로 90분 구워서 잘나왔 ...
- 라면을 맛있게 끓이는 방법!!기사 l20201024
- 조직이 치밀해져 더 쫄깃쫄깃한 면을 먹을 수 있습니다. (유후~) 사진출처: 롯데 on 셋 째, 물을 끓이는 동안 면을 한 두번 정도 젓가락으로 들었다 놨다 하면 탱글탱글한 면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 비법은...살짝 안 익었을 때 내리는 것입니다. 냄비가 뜨겁기 때문에 불에서 내린 후에도 면이 계속 익기 때문이죠. 다 익고 내리면 ...
- 음식 잘 먹는 법기사 l20201020
- 먹는데 요새 안 먹은지 오래 되었네요. 이것도 한 번 도전! 그거 알아요? 비빔밥을 비빌 때 숟가락 보다 젓가락으로 비벼애 하는 것! 젓가락을 이용해서 반찬이 뭉개지지 않게, 밥알이 뭉개지지 않게 비벼야 한답니다. 또 된장찌개에 있는 두부나 호박을 넣으면 맛도 좋고, 훨씬 부드럽게 비벼져요. 큰 토마토를 먹을 때 즙이 많이 ...
- 디저트 만들기 3탄!! ( 머랭쿠키 )기사 l20200927
- 넣어줍니다. (7-1(선택). 이때 젓가락을 사용하여 짤주머니에 색소를 넣어줍니다. (이런 식으로 저는 빨강, 노랑, 초록, 파랑색을 젓가락을 사용해 넣어주었어요!) 7-2. 머랭반죽을 반 넣어줍니다.) 8. 색소를 넣고, 섞어 줍니다. 9. 쿠킹 호일에 예쁘게 짜줍니다. (다 짜준 모습입니다.) 10. 80˚에 ...
- [ 하소연 ] ' 동생 ' 이란 생물 ..포스팅 l20200827
- 귀에 대고 소리를 지르고 막 밀쳐내고 울고 불고 죽1여 버리구 싶은데 얘 어케여 .. 지는 맨날 캉캉이랑 위풍당당 행진곡 / 젓가락 행진곡 편곡한거 치면서 .. 제가 그만좀 치라 그러면 소리 지르는데 .. 에휴 // 안 때리는걸 복으로 생각해야지 ㅉㅉ 아까 아침부터 불쾌 했는데 기상청은 틀리지만 전 ...
- 여러가지 응급처치기사 l20200825
- 걸렸을 때는 맨밥을 삼키면 더 깊이 들어가니 맨밥을 먹어서는 안 됩니다. 바로 1339에 전화하고,깊이 들어가지 않았다고 쪽집게나 젓가락으로 빼도 위험합니다. 그러니 가래를 뱉어 보거나 병원에 가는 게 좋습니다. 3.독버섯을 먹었을 경우 어지럽고 환각 증상이 보이니 옆에서 부축이 필요합니다, 물을 마셔서 빨리 먹은걸 토하고,빨리 병원으로 이 ...
- 과학갤에 질문 있읍니다포스팅 l20200726
- 여기 갈색 글씨는 은이 딴것중에 가장 열을 잘 전도한다고 쓰여있는데 왜 전도 안일어나게 하려고 만드는 보온병에는 은도금 하는 거죠...? 열전도 예를 들어보자면 라면끓일때 쇠젓가락으로 휘적휘적하면 물닿은부분 겁나게 뜨겁은데 나무젓가락은 덜한 거 그런겁니다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