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훼손"(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환상의 나라 팀랩월드에 가다!기사 l20170523
- 닿지 않게 걸어 다니는 놀이입니다. 두 명이서 해도 전혀 지루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빛나는 공의 위에 올라가거나 발로 차면 훼손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빛나는 공 사이에 있는 정진, 정민 기자입니다. 네 번째는 그래피티 네이처입니다. 그래피티 네이처는 사람들이 다양한 생물들로 만들어지는 생태계입니다. 종이에 자유롭게 꽃과 나비, 도마뱀 ...
- 왕숙천의 민물고기 탐사!기사 l20170423
- 5대 강으로 나뉘어 여기저기서 수많은 물줄기들이 흘러 수많은 어종을 만날 수 있어요. 하지만 개발로 인해 자연하천이 빠르게 훼손되어 많은 민물고기가 서식처를 잃고 있답니다. 우리나라의 고유종인 대표적인 민물고기는 각시붕어에요. 우리나라에만 사는 고유어종으로 다 크면 5cm정도 되는 물고기다 물살이 잔잔한 하천에 주로 살며 유기물이나 부착 ...
- 조선 왕릉 이야기기사 l20170328
- 조선 왕릉은 519년 동안 27대에 걸쳐 조선을 통치한 왕과 왕비의 무덤입니다.500년 이상 지속되었고,재위한 모든 왕과 왕비의 능이 훼손 없이 온전히 남아있는 사례는 세계사에서도 조선 왕릉이 유일하다 합니다.조선왕릉은 학술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조선시대의 왕릉은 모양이 모두 똑같지만은 ...
- 2017년 2월 25일 대전 민물고기 번개탐사기록 l20170228
- 오늘은 대전 유등천에서 민물고기 탐사 번개를 성무성 어벤저스와 함께 진행하였다, 대전 유등천은 대전의 도심에 위치한 하천이였다, 이곳에는 멸종위기종 1급인 감돌고기가 서식하고 있는 곳이라고 하여 오늘 감돌고기를 볼 ... 집으로 돌아갔다. 아무리 봄이 가깝다고 해도 아직 춥긴 춥구나라는걸 느꼈고 또 도심에도 멸종위기종이 사는구나, 환경이 아직 많이 ...
- 낙동강의 흰수염난쟁이~탐사기록 l20161110
- 사업으로 낙동강 본류는 모래채취와 보 건설, 녹조현상 등등 서식지가 많이 위태로웠고 아무리 지류가 온전해도 본류의 산란장이 훼손되어 멸종을 걱정했었습니다.그렇기에 채집했던 장소는 이날이 처음 간 곳이라 혹시나 못보면 어쩌나 걱정했습니다. 채집이 시작된 20분 동안 우리는 모래 여울에서 어떠한 고기를 확인하지 못해 진짜 없는 건 아닌지 불 ...
- [광명청개구리 ]160618-1 독산로10길 4탐사기록 l20160618
- 제비들을 보호하고 있다.매년 두 번정도 부화 시킨다고 한다.작년에 누가 제비집을 반 정도 훼손해서 제비 새끼 두 마리만 살아 남았었다. 그러나 임시로 이동 시켜준 곳에서 한 마리는 끝내 죽고 한 마리만 살아남았다고 한다.제비 새끼들이 다 날게되면 둥지 근처에 있는 플라스틱 통으로 옮겨가 생활하다 날아간다고 한다.다 크면 주위를 며칠동안 배회하다 ...
-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현장취재 1차 - 보전과학, 우리 문화재를 지키다기사 l20160530
- 문화재들이 아플 때 가는 문화재 병원입니다. 유물도 우리와 비슷하게 치료를 받습니다. 보존과학은 x선(x-ray)나 CT촬영 등을 활용하여 훼손된 문화재들을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시키는 기술입니다. 보존과학에 대해 이해 하기 쉽게 설명을 듣고, 직접 보존된 유물을 보고, 보존과학부 학예연구사님의 인터뷰를 하는 등 뜻 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
- 보존과학으로 분석하고 복원한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들기사 l20160524
-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황현성 연구원님이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여 다른 나라에 비해 문화재가 훼손되기 쉬워, 박물관은 가장 좋은 환경(온도,습도 등)을 꼭 유지해야 한다 합니다." 흥미진진한 보존과학인 것 같습니다. 보존과학으로 우리 문화재가 잘 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문화재 보존과학자를 만나다기사 l20160522
- 측 책임이며, 전시를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올 때까지는 외국 측 책임입니다. 3) 현장 발굴도 직접 가시는지요? : 발굴할 때 유물이 많이 훼손되어 있거나, 긴급하게 보존해야 할때는 현장 발굴에도 참여합니다. 4) 현재 활동하고 있는 국내 문화재재 과학자 수는 얼마인가요? : 약 200여 명 정도입니다. 특히 한국은 이제 문화재 보존과학이 발전되 ...
- 문화재들의 병원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에 다녀오다기사 l20160521
- 그런데 문화재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치료 방법은 우리와 다른 점도 있지만, 비슨한 점도 있었어요. 손상되거나 훼손된 문화재들은 우리들처럼 X선 촬영이나 CT촬영을 통해서 확인한다는 것을 배웠어요. 그리고 X선을 통과시키면 그림 속에 숨어있던 원래 그림도 찾을 수 있다는 점이 참 신기했어요. 저는 만약 우리 문화재가 다른 나라로 이송될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