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백신' 췌장암·대장암 재발 억제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제브 와인버그 미국 로스앤젤레스캘리포니아대(UCLA) 의대
교수
팀은 단백질의 단위체인 아미노산이 결합한 펩타이드 기반 백신 'ELI-002 2P'가 췌장암과 대장암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 ...
자전거 탈 때 뇌 신호 메커니즘은 다르다…파킨슨병 치료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탐색할 때는 그저 신경 활동을 지켜보는 '단순한 관찰자' 역할만 한 것이다. 올베츠키
교수
는 "기저핵이 학습된 움직임과 선천적인 움직임을 할 때 서로 다른 언어를 말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쥐의 DLS를 제거하는 실험도 했다. 그 결과 걷기나 털 고르기 등 자연스러운 행동을 하는 ... ...
[재생의료 최전선]⑨ 세포 융합으로 병든 세포 되살려 난치병 '완치'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자리를 옮겨 진료와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2005년 산업계에 뛰어들었다. 신경과
교수
로서 루게릭병을 비롯한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를 지속했으며 세포치료제 중에서도 세포 융합 연구를 2007년부터 시작해 2018년 큐라미스를 설립했다. 그의 바이오 벤처 창업은 우연한 사건에서 시작됐다. 성 ... ...
[사이언스게시판] 제15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바이오산업 토론대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LG전자 인공지능연구소 연구위원과 류수정 서울대 차세대반도체혁신융합대학 초빙
교수
가 좌장으로 나선다. 워크숍은 이틀 동안 오후 1시부터 한림공학원 유튜브(youtube.com/@NAEK)에서 생중계된다.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는 이공계 학부생을 대상으로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최신 이론과 ... ...
간염바이러스, 면역 센서 무력화 원리 규명…치료제 개발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및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안광석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세계인의 70%가 보유하고 있는 인간거대세포바이러스(HCMV)가 어떻게 선천적인 면역 기능을 회피하는지에 대한 매커니즘을 밝혀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 ...
"어릴 때 친절한 아이, 청소년기 과일·채소 더 먹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고 설명했다. 공동저자인 줄리안 K. 뵘 채프먼대 심리학과
교수
는 "아이의 친사회적 행동은 기본을 좋게 하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 심리적 기능을 개선한다"며 "이 모든 것은 건강과 관련한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 ...
고용량·고속충전 하이니켈 전지, 공정 혁신으로 수명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제어해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의 수명과 신뢰성을 모두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교수
는 "단순한 열처리 조건 변경을 넘어 양극 소재의 소결 거동 전반에 대한 원리적 접근과 실증적 검증을 함께 수행했다는 데에 차별성이 있다"며 "다양한 산화물 기반 전극 소재의 소결 공정 최적화를 위한 ... ...
빛 자유자재 조종하는 메타렌즈, 공장에서 바로 찍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데 성공했다. 얇고 효율이 높아 반사 방지나 오염 방지 코팅을 입히기도 쉽다. 노준석
교수
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스마트폰 카메라는 더 얇아지고 화질이 좋아질 것이며 AR·VR 기기는 안경처럼 가볍게 쓸 수 있다”며 “보안 장치나 의료 장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화재 위험없는 전고체 전지 불안정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남기훈 전지소재공정연구센터 선임연구원팀이 박철민 금오공대
교수
팀과 협력해 전고체전지의 리튬금속 음극과 고체 전해질 사이의 계면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실용화 수준의 파우치셀을 제작·검증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6월 3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 ...
통증·온도 느끼는 세포 신호 제어하는 '전기 스위치'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시간을 조절해 세포 반응 범위와 타이밍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확인됐다. 박지민
교수
는 “전기만으로 다양한 신호물질을 생산해 세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신경계, 대사질환 등 전자약 개발로의 응용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