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뉴스
"
눈
"(으)로 총 5,780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 해치는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밝혔다. 그는 이어 “새롭게 발견된 단백질 손상 경로는 청색광에 의한 피부,
눈
조직의 노화나 질병 유발의 숨겨진 원리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30일 공개됐다. - doi.org/10.1038/s41467-024-55168 ... ...
1월은 금성·토성 '육안 관측'하기 좋은 달
동아사이언스
l
2025.01.05
동안 밤하늘에서 행성을 발견하고 싶은 사람은 빛 공해가 적은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며
눈
이 어둠에 적응할 수 있는 최소 15분의 준비 시간을 가져야 한다. 로버트 매시 영국 왕립천문학회 부국장은 4일(현지시간) BBC와의 인터뷰를 통해 “일몰 후 빛 공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금성 관측이 ... ...
"부모가 벌 받았네" 참사 유족 의대생에 조롱글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더욱 공분을 사고 있다. 이 게시글을 소셜미디어 등으로 폭로한 글쓴이는 “도저히
눈
뜨고 볼 수 없어 내부 폭로를 결심했다”며 “저런 인간들이 의사로서 진료를 본다는 게 너무 끔찍하다”고 말했다. 이어 “제발 널리 퍼트려 범인을 잡을 수 있게 도와달라”고 덧붙였다. 해당 게시글 ... ...
[양자역학 100년] "삼성 위기 불러온 HBM 경쟁, 양자역학에서 비롯"(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1.01
속도 같은 물체의 상태가 정확해지면서 파동으로서의 성질은 사라진다. 양자역학은 흔히
눈
에 보이지 않는 미시세계에서 작동하는 물리 현상으로만 생각되지만 우리 삶과 동떨어진 개념은 아니다. 전자처럼 작은 입자의 상태가 결정되면 원자에 영향을 주고 원자가 모인 분자 등 더 큰 규모에 ... ...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기반시설 건설 입찰공고…총 3032억원 규모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중으로 예정됐다. 방사광가속기는 전자를 가속할 때 발생하는 전자기파인 X선을 이용해
눈
으로 볼 수 없는 물질의 미세구조를 관찰·분석하는 초정밀 거대 현미경이다. 충북 오창에 방사광가속기를 건설하는 이번 구축사업의 총 사업비는 1조 1643억원으로 2029년까지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입찰을 ... ...
질병청 감염병 빅데이터, 민간으로 개방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대한 데이터를 가명 처리 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표 형태로만 제공돼 한
눈
에 알아보기 어려웠던 기존 감염병 통계는 대시보드로 구축해 막대, 선 그래프 등 시각화된 형태로 조회할 수 있도록 했다.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오픈API를 제공하는 등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 ...
모기 물리면 부푸는 이유, '히스타민' 분비 탓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28
해요. 혈관이 확장되면 순간적으로 피가 몰려 혈관이 점점 부풀어요. 이 모습이 우리
눈
에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보입니다. 모기에게 물렸다면 긁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를 긁어 상처를 자극하면 히스타민이 더 많이 퍼져서 가려움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대신 모기 물린 자국을 ... ...
[과학사극장] 과학계 거장 마이클 패러데이, 수학 못했다?
과학동아
l
2024.12.28
전환점은 1812년에 찾아왔다. 패러데이가 작성한 독서 노트가 왕립연구소 관계자의
눈
에 들어 당시 유명했던 험프리 데이비의 강연을 들을 기회를 얻게 된 것이다. 과학자가 되고자 하는 열망에 사로잡힌 그는 왕립연구소의 소유자 조셉 뱅크스에게 "비록 가장 낮은 수준이라도 과학적 작업에 ... ...
"뇌 정보 처리 속도, 인터넷보다 훨씬 느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7
사고 속도는 우리가 감각기관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속도에 비하면 매우 적다. 한쪽
눈
에 있는 수백만 개의 광수용체 세포는 16억bps의 속도로 정보를 전송한다. 걷거나 뛰는 등 무의식적인 신호까지 고려하면 정보 처리 속도가 10bps보다 훨씬 빠를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연구팀은 "우리 뇌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질소 고정 세포소기관' 발견…생물학 교과서 다시 쓸 성과
2024.12.25
없는 것 같아 여기서는 일단 질소체로 번역해 쓴다)라는 새로운 세포소기관 발견이
눈
에 띄었다. 식물플랑크톤인 규조류의 한 종(학명 Braarudosphaera bigelowii)의 세포 내부에 존재하는 질소체는 질소(N2)를 고정해 대사 과정에 쓸 수 있는 형태인 암모니아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질소 고정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