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뉴스
"
소금물
"(으)로 총 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금 대신 약을 만든 파라켈수스, 연금술의 새 장 열다
2020.03.05
픽사베이 제공 연금술이라고 하면 흔히 중세와 중세의 연금술사가 떠오른다. 하지만 연금술 연원은 그보다 훨씬 오래됐다. 고대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 바빌로니아의 야금술에까지 연줄이 닿는다. 야금술이란 광석에서 금속을 뽑아내는 기술이다. 바빌로니아의 야금술은 기원전 13세기까지 거슬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
2020.02.18
Diff. Mcs)가 있지만(아래 빨간색) 돌출부에는 멜라닌세포줄기세포(MeSCs)가 없다. 한편
소금물
을 주사한 대조군(Ctrl)의 모낭에는 둘 다 존재한다(왼쪽). 털이 빠진 뒤 휴지기(telo)에서는 모낭이 수축돼 대조군의 멜라닌세포줄기세포만 남아 있다(가운데). 다시 성장기에 접어들면 모낭이 활성화되는데, ... ...
남극 바다 얼음이 이산화탄소 바다에 가둬 빙하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악셀 팀머만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 단장(왼쪽)과 칼 스타인 연구위원(가운데), 권은영 연구위원 공동연구팀은 빙하기를 남극 해빙이 가속시킨 원리를 밝혀냈다.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빙하기는 지금보다 약 6도 더 춥고 북반구 대륙 일부는 최대 4㎞ 두께 빙상으로 덮여 있었다. 이러한 ... ...
나노재료 관찰하는 '소금 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연구팀은 소금을 활용해 한계를 극복했다. 수 ㎝ 길이로 일렬로 늘어선 탄소나노튜브에
소금물
을 떨어트리고 전기장을 가했다. 탄소나노튜브에 전기가 흐르면 소금을 구성하는 나트륨이나 염소 이온이 표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소금 결정을 만들게 된다. 이 교수는 "소금 결정의 크기는 ... ...
KIST-공군, 국방 기술 상호 협력 기반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차세대 군용 무전기의 예비전지인 ‘신개념 금속 연료전지’는 세계 최초의 군용
소금물
-마그네슘 전지로 2017년 4월 연구개발을 완료했다. 추후 무전기 개발이 완료되는 대로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KIST는 2018년부터 자체 예산으로 국방·안보, 재난·안전 등에 대한 7개의 실증 적용형 사업인 ‘K ... ...
버려지던 목재폐기물 '리그닌' 고부가가치 물질로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이동욱(왼쪽에서 두번째)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리그닌 분자의 뭉침과 퍼짐을 결정하는 힘이 ‘소수성 상호작용’이라는 것을 밝혀내고 이를 조절할 방법을 제시했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폐목재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유기화합물인 리그닌으로 석유나 석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
2019.12.17
수컷 고릴라로는 처음 수화를 할 줄 알았던 마이클(Michael. 사진)은 지난 2000년 27살 한창 나이에 비대성 심근증으로 죽었다. 마이클의 단짝이자 수화를 유창하게 구사했던 암컷 고릴라 코코(Koko)는 47살인 지난해 자다가 죽었다(자세한 설명은 없으나 심장마비로 보임). 사람을 제외한 포유류는 굶주림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물 분자가 결정을 이룰 때 물에 섞여 있던 물질들이 모여 만들어 낸 것이다. 예를 들어
소금물
을 냉각시키면 물 분자들은 얼음 결정을 형성하고 소금 분자(NaCl)들은 얼음 결정들 사이 작은 틈으로 모인다. 김기태 극지연구소 실용화연구사업단 선임연구원은 “이 물질들은 고체가 아닌 용액 상태로 ... ...
"과학커뮤니케이션, 단순지식·재미보다 경이로움과 신기함 전달에 무게 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6일 대전 유성구 기초과학연구원(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사이언스 얼라이브 2019 라운드테이블 2’ 토론회가 열렸다. “우리가 매일 먹는 소금은 나트륨과 염소로 이뤄져 있습니다. 그런데 나트륨 원자가 물과 만나면 건 하나를 날릴 수 있을 만큼 큰 폭발을 일으키고, 염소는 세계1차대전에서 유태 ... ...
바닷속에서도 착! 하이드로겔 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19.12.03
친수성 고분자 네트워크)을 형성하며 접착력이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물질은
소금물
에서 음전하를 띠는 고체 표면에 60kPa(킬로파스칼)의 강도로 달라붙었다. 전하를 띠는 물질이 반대 전하를 끌어당기는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유도된 것이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바닷속 암석이나 유리,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