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곤충
대충
chung
뉴스
"
충
"(으)로 총 22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원도 인제군에서 포착된 '해파리 성운'…천체사진공모전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작품 사진부문 태양계(동상)- 화성의
충
, 김두진. 화성이 가장 크고 밝게 빛나는 화성의
충
을 촬영한 사진. 화성의 극과 표면 무늬 그리고 구름이 나타나는 작품 동영상 부문(은상)-오로라 댄스, 황태연. 동영상 부문(은상)-오로라 댄스, 황태연. 동영상 부문(은상)- The Little Planet, 이윤규. 동영상 부문 ... ...
나트륨배터리 수명과 출력, 획기적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8
적용해 배터리 수명과 출력 특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연구팀이 적용한 바인더는
충
·방전 과정 중에 바인더의 나트륨 이온과(R-COONa) 플루오린화수소의 생성 중간체인 HPO2F2의 수소이온과의 원소교환 반응을 통해 아크릴산(R-COOH)과 NaPO2F2를 다량으로 만들어낸다. 다량으로 생성된 NaPO2F2는 ... ...
인공지능 기술로 리튬이온배터리 수명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석‧박사통합과정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배터리 진단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며 "
충
·방전 조건에 제한없이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2023 퓨처 모빌리티상' 시상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단결정 양극소재를 리튬 메탈전지에서 평가했다. 그 결과 이 단결정 양극소재는 200회
충
·방전 후에도 기존 용량의 92%에 준하는 성능을 보였으며 같은 조성의 다결정 소재 대비 약 12% 향상된 수명 유지율을 보였다. 또한 가스 발생량 및 저항 증가율이 30% 이상 개선됐다. 연구팀은 "전기자동차의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 보호막으로 수명 늘린 리튬 금속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9
'스몰'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개발된 구리 집전체를 사용한 음극은 120회 이상
충
·방전 후에도 70% 이상 용량을 유지하는 등 안정적 성능을 보여 기존 구리 집전체 대비 약 2.5배 높은 용량 유지율과 4배 이상 수명을 갖는 리튬 금속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
OLED 소재로 AI반도체 소자 개발…정보 저장·연산 한번에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해 AI 반도체에 요구되는 다양한 성능 지표들을 높은 수준으로
충
족시켰다. 거대 AI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냅스 소자의 출력 전류가 낮게 조절돼야 하는데 초박막절연체를 트랜지스터 내부에 도입해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대규모 AI 연산에 활용할 수 있는 것도 확인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세포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한 단백질 조립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이런 불균일성의 원인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충
전 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흑연의 특징을 이용해 전극의 깊이 별로 발생하는 반응의 불균일성을 분석했다. 위치에 따른 색의 분포를 비교해 반응의 불균일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기존에 없는 새로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뇌 속 자명종 신경회로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김대수 생명과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김대수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김정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 연구팀과 공동 ... 패터닝 기술은 전극 내 전기화학적으로 활성화된 표면을 개선할 수 있어 초급속
충
전 배터리의 실현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전기차 주행거리 1.5배 늘릴 리튬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1.5~2배 컸다. 특히 100회
충
·방전에도 약 80%에 달하는 용량 유지율을 보이는 등 빠른
충
·방전에도 저장 용량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바나듐 산화물을 양극소재에 적용한 고성능 리튬 배터리를 구현했다. 이 배터리는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1kg당 592Wh(와트시)로 기존 리튬이온전지 ... ...
'뇌 먹는 아메바' 국내 첫 사망 사례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1일 결국 사망했다. 질병관리청은 이 환자에 대해 아메바성 뇌염 원인병원체 3종류 원
충
을 확인하는 유전자 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해외에서 보고된 뇌수막염 환자에게 검출된 파울러자유아메바 유전자 서열과 99.6%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파울러자유아메바는 원발성 아메바성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