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스페셜
"
길
"(으)로 총 1,10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100배 수준으로 높인 막을 개발하는 건 시간문제일 거라고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
길
에 뿌려진 염화칼슘을 보면 어는점 내림 현상을 이용한 냉장고나 에어컨이 떠오를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과학자와 의사가 암을 정복하려고 노력했고 나름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아직 갈
길
이 멀다. ‘지피지기면 백전불퇴’라고 상대를 속속들이 알아야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데 암은 여전히 미스터리 투성이이기 때문이다. 최근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한 논문을 읽으며 이런 실상을 다시 한번 ... ...
[박진영의사회심리학] 새로운 인연 만들기는 '해볼 만한 일'
2022.12.10
대화를 시도했는데 거절당하거나 어색한 순간이 찾아올까봐 지레 걱정하고 만다. 하지만
길
리안 샌드스톰 서섹스대 연구자에 따르면 이 또한 습관이다.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일주일간 매일 낯선 사람과 대화를 해야 하는 미션을 주었다. 어떤 날은 “모자를 쓴 사람”을 찾아서 대화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고사하고 하루만 지나도 손상돼 정보를 보존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직은 먼
길
이지만 파스퇴르가 거울상 분자를 발견한 지 200년이 되는 2048년쯤 되면 거울 세계가 실현되지 않을까. 다음은 파스퇴르가 1860년 논문에서 거울 세계의 가능성을 언급한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만일 신비로운 ... ...
[탄소중립 최전선] ③원유·가스 얻고 탄소 저장하고...캐나다 탄소저장 키워드는 ‘경제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빛을 띠고 있다. 호수 옆편으론 관광객들이 다니지 않는 샛
길
이 있다. 1시간쯤 험준한
길
을 따라 올라가면 산 중턱에 잘게 쪼개진 암석 무더기가 나타난다. 퇴적암 중에서도 촘촘한 입자를 가진 암석 셰일이다. 진흙 등이 굳어져 형성된 이암의 한 종류인 셰일은 저류층에 저장한 탄소를 영구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원료로 바꾸는 방법을 개발했다. A. Fisher/사이언스 제공 ○ 상용화까지는 먼
길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기도 한다. 엄밀히 말해 알렉산드로스는 매듭을 푼 게 아니라 끊었기 때문에, 예언의 효과도 얼마 가지 못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 뒤 제국은 칼질로 끊어진 밧줄처럼 ... ...
[노벨상 2022] 암 표적 찾는 신약에 기여...'클릭화학' 연구자 3인 화학상(종합)
2022.10.05
임상시험에서의 활용은 물론 항암제가 체내에서 표적을 찾아가 효능을 높일 수 있는
길
을 열어 인류에 이바지했다는 분석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캐롤린 버토지(55)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모르텐 멜달(68)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배리 샤플리스(81)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연구교수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아인슈타인도 설명 못한 양자현상, 실험으로 증명하다
2022.10.05
여러 개의 광자를 얽히게 하는 기술을 개척해 양자 얽힘의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길
을 열었다. 이러한 업적들은 광자가 아닌 다른 물리계를 다루는 분야들에도 영감을 주고 파급효과를 가져왔으며, 많은 과학자들이 양자 컴퓨터와 양자 통신, 양자 시뮬레이션 등의 이론을 실험실로 이끌어내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이를 극복하고 연구 결과를 냈다는 점에서 고인류학에 새로운
길
을 열어줬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교수 지도 없이 직접 네안데르탈인의 뼈를 구해서 연구해 '셀' '사이언스' '네이처' 등 저명한 학술지에 발표한 학자"라며 그를 "고유전체학의 대부"라고 평가했다. 특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박혀있는 부분들이 서로 더 가까워져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며 염소이온이 이동할
길
이 완전히 막힌다. 그 결과 억제성 시냅스 전달이 이뤄지지 않아 신경 활동이 계속된다. 그렇다면 스트리크닌은 어떻게 쓴맛을 느끼게 할까. 글라이신수용체는 뉴런 세포막에 박혀있는 막단백질로 그림에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