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스페셜
"
종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 날개 패턴 만든 고대 유전자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유전자 서열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비교 분석 대상인 5
종
의 나비가 비록 서로 매우 다른 날개 패턴을 갖고 있지만 고대로부터 동일한 CRE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CRE와 표현형 특성 진화를 연구하면 척추 동물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유전자 발현 조절 역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다양한 유기화합물을 먹이로 삼아 살아간다. 최근 대사공학 기법으로 푸디다 균주 두
종
이 플라스틱 쓰레기에서 얻은 유기산 혼합물로 각각 특정한 물질을 생산할 수 있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대사공학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기후위기와 산림] 현대판 '노아의 방주'에 소나무를 태우려면
2022.10.13
위한 유일한 승선권은 유전적다양성이다. 유전적다양성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여
종
이 지속될 수 있게 하는 진화적 잠재력이기 때문이다. 거제수나무.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한진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산림유전자원 보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둘이 엉키며 코아세르베이트가 만들어진다(왼쪽). 이를 플랫폼으로 해서 박테리아 두
종
을 넣어준 뒤 세포를 터뜨리면 구성성분이 코아세르베이트에 재배치되면서 인공세포가 만들어진다(위 오른쪽). 그 뒤 DNA를 자르고 히스톤 단백질을 넣어주면 둘이 뭉쳐 핵처럼 생긴 구조물이 만들어지고(아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영향을 미치고 이 유전적 차이의 상당 부분을 고인류에게서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신
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중증화 가능성을 낮추는 12번 염색체 상의 변이가 네안데르탈인 조상에게서 유래했다는 페보 박사의 최근 연구가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사람들 사이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턱 있는 척추동물 기원, 4억3900만년 전 고대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2.10.01
네이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는 지금은 살고 있지 않을 것 같은 물고기 5
종
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이빨과 턱(Tooth and Jaw)이라는 제목을 큼 ...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며 “턱이 있는 척추동물이 어떻게 진화하고
종
의 다양성을 갖게 됐는지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다제내성균과 사람의 분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135
종
을 99% 제거할 수 있으며 신
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변이들도 제거 가능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온라인판에 7일 공개됐다. ■ 포스텍(POSTECH)은 이대수 물리학과 교수, 박세영 숭실대 물리학과 교수 ... ...
[과학게시판] 지질연, 탐사연구선 탐해3호 용골거치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마우스 4
종
의 대량 생산체계를 확립했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오는 11월 전국 중·고등학생 대상 '제8회 원자력 창의력 대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대회에서는 학생 2∼3명이 팀을 이뤄 원자력 이슈를 해결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음식을 씹는 데 쓰는 현대인들의 씹기근육은 운동 부족 상태이지만 말이다. 한편 껌의
종
류도 중요하다. 껌 씹기의 효과를 보는 실험에 쓰인 껌들은 다 설탕이 들어있지 않다. 물론 껌에 들어있는 양으로는 영양이나 운동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겠지만 대신 치아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껌을 씹으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까지 재생할 수 있는 '이 생명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9.04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는 '우파루파'라는 애칭으로도 잘 알려진 도롱뇽의 일
종
인 아홀로틀(Ambystoma mexicanum)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마 ... IUCN)이 지정한 위급(CR)
종
이다. 2020년에는 멕시코 정부가 아홀로틀을 지폐 모델로 차용해 멸
종
위기 야생생물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도 했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