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문서
고문서학
고자체
사본
d라이브러리
"
고문서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펼치지 않아도 책을 읽을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1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와 조지아공대 공동 연구팀은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해 책을 직접 펼치지 않고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어 ... 간격을 알아내 9장에 적힌 글자들을 각각 구분할 수 있답니다. 헤쉬마트 박사는 “손상된
고문서
를 복원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밝혔어요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
과학동아
l
201605
웅황은 대부분 중국 등지에서 수입한 것으로 추정된다.또 광물에 대한 설명을 써 놓은 한
고문서
에는 “석 자황은 음지에서 자라고, 석 웅황은 양지에서 자란다”라고 기록돼 있다. 햇볕을 싫어하는 계관석(석 자황)은 음지에 존재하고 이것이 햇볕에 노출되면 웅황(석 웅황)으로 변하게되니, 화학적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
수학동아
l
201510
이상설이 집필한 수학교재 의 원본이 최근 오랜 수소문 끝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고문서
틈에서 발견돼 세상에 공개됐다. 이 책은 19세기 말에 쓰인 수학책으로, 한국의 전통 산학과 오늘날 배우는 현대 수학의 연결고리와 같다. 불꽃같은 독립운동가였을 뿐만 아니라 한국 근대 수학의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506
런던으로 넘어가, 빌프리다스라는 가명으로 서점을 운영하며 살고 있었다. 취미 삼아
고문서
를 수집하던 중 이탈리아의 한 수도원에서 이 책을 손에 넣었다! 과연 이 책에는 어떤 비밀이 들어 있을까? 그가 가슴을 두근거리며 펼친 이 책은 아직까지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보이니치 문서’는 27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
수학동아
l
201209
여러 곳의 박물관을 방문했다. 이 중에서도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고문서
를 볼 수 있는 워터예술박물관과, 12월에 문을 여는 미국 최초의 수학박물관 ‘모매쓰’에 전시될 작품을 미리 엿볼 수 있는 메릴랜드과학관을 소개한다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07
일반적이다. 책을 제작하거나 수묵화를 족자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고문서
는 낱장 또는 여러 장일 경우 말아서 끈으로 묶는 등의 형태로 전래되며, 표구를 하거나 족자로 제작하여 보관하기도 한다. 이 때 배접했다 하더라도 보통 포개거나 말아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02
간쑤성의 둔황 제17굴(천불동) 석불에서 발견했다. 그는 앞뒤 부분이 잘려나간 이
고문서
를 발견하자마자 과거 ‘일체경음의’에서 읽었던 내용을 기억했다. 일체경음의는 불교 어휘를 설명하는 사전인데, 여기에 혜초가 오천축국을 여행하면서 여정을 기록해 왕오천축국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07
손쉽게 끼워 넣을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해 지난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처치 교수는 “
고문서
를 복사했다고 해서 고대 언어를 이해한 것은 아니다”라며 “DNA가 제대로 작동하게 도와주는 세포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게 급선무”라고 말했다.Q5 합성세포 기술은 위험한가지난해 신종플루가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04
열린 가뭄 심포지엄에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김현준 박사는 삼국사기를 비롯한 9개의
고문서
를 분석한 결과 역사적으로 한반도에 가뭄이 반복됐다고 설명했다. 때에 따라 빈도와 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가뭄이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말이다. 부경대의 변희룡 교수도 이번 가뭄의 원인은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02
시절!”지금으로부터 1만 5000년 뒤, 지구에는 다시 빙하기가 찾아왔다. 우연히 도서관
고문서
보관실을 뒤지던 오웰은 19세기 초 독일 과학자였던 칼 쉼퍼의 시를 발견했다. 시 속에 묘사된 소빙하기의 지구는 춥고 황폐했다. 한 뼘도 안 되는 햇살을 쏟아놓고 금세 저물어가던 여름은 야속할 정도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