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문서
고문서학
고자체
사본
뉴스
X레이로 밝혀낸 기원전 그리스 철학서…베수비오 화산재 속 '필로데모스' 저작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5.07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탄화된 두루마리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디지털 기술로 손상된
고문서
를 훼손 없이 판독하는 데 성공한 사례로 학계를 놀라게 했다. 고대 철학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 연구 프로젝트 베수비오 챌린지는 고대 로마 헤르쿨라네움에서 발굴된 탄화된 ... ...
폼페이에 묻힌 인간 화석, 가족관계가 아니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밝히는 ‘베수비오 챌린지’에 참여한 우승팀의 해독 성과다. 현대 과학기술을 통해
고문서
의 해독력을 높인 이 성과 또한 고고학 연구에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한 당위성을 제시했다 ... ...
서울 한복판서 발견된 뼈 무더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4.09.07
가능성에 대해선 "조선시대 소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었다. 소에게 큰 전염병이 돌았다면
고문서
기록에 분명히 남아있을 텐데 현재까지 확인한 바로는 그 기록을 찾지 못했다"며 "고문헌을 찾아 보며 대조해 보는 작업도 거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왜 소들은 서울 한복판에 묻혔을까. 그 이유는 ... ...
폼페이 화산재에 묻힌
고문서
, AI가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2000년 전 베수비오 화산 폭발 당시 손상된 헤르쿨라네움 두루마리. 베수비오 챌린지 제공 2000년 전 폼페이를 멸망시킨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손상된 두루마리에 써 있는 문자를 인공지능(AI)이 해독했다. 화산재에 묻혀 있던 두루마리에선 고대 로마인의 생활상을 단편적으로 엿볼 수 있었다. 학계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조선시대 문헌 '택리지' 염전 기록으로 한반도 해수면 취약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수심과 지형이 나타나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한국과 미국 연구진이 조선시대
고문서
에 남은 1500~1700년대 해수면 변화 기록을 근거로 한반도가 해수면 변화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남욱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책임연구원팀은 KAIST, 경북대, 인하대, 미국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주는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와 세차운동, 공전궤도이심률의 변화 등 천문학적 요인들과,
고문서
기록·빙핵 분석·바다와 호수 밑 퇴적층 분석·나이테 분석 등의 변수들을 포함한 기후모델로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행, 과거의 기후변화를 추정했다. 이를 해수면 변화와 함께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교수의 노력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실스 교수는 컴퓨터과학 기술을 활용해
고문서
를 읽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2015년 돌돌 말려 탄화된 채 이스라엘의 사해 인근에서 발견된 ‘엔게디 두루마리’를 읽은 공로로 잘 알려져 있다. 당시 실스 교수팀은 X선으로 엔게디 두루마리를 스캔했다. 그 ... ...
[특집] 문명 아이템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해독했다. 일본 초서누가 일본 오픈 데이터 인문학 센터어떻게 일본의 고전 문학이나
고문서
등의 한자를 AI에 학습시켜 현대 일본어로 해독했다. 고대 산스크리트어누가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올리버 헬위그 박사후연구원어떻게 띄어쓰기가 없는 고대 산스크리트어를 AI를 활용해 개별 ... ...
[기획]
고문서
속에 등장한 염전 이야기에 주목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거둬들였고, 소금 생산은 당시 백성의 생계를 책임지는 주요 산업이었기 때문에
고문서
에 기록이 꼼꼼하게 남은 덕분이죠.남 박사팀은 『지봉유설』과 주변의 제방 위치와 높이, 곰소만의 고도를 고려했을 때 백제 시대인 500년 전후엔 검당마을 바로 앞 갯벌에 염전이 있었을 거라 추정했어요. 반면 ... ...
[기획] 해수면 변화 단서
고문서
에서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여긴가?!”나는 조선 탐정. 전라북도 고창군 곰소만 갯벌에 왔지.지금 내 손엔 옛 학자들이 남긴
고문서
들이 잔뜩 들려있어. 옛 기록을 보면 1500년 전 이 근처에 염전이 ... 찾았다!Part1. [기획]
고문서
속에 등장한 염전 이야기에 주목했다!Part2. [기획] 땅속 단서,
고문서
와 일치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베스트포토상] 독도 플래시몹
기사
l
20160820
퍼온 글입니다. 1. 지리적 근거가 있습니다. 독도는 지리적으로 울릉도의 일부로 인식되어 왔는데 이는 '세종실록지리지' 등
고문서
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2. 역사적으로도 우리 땅이 명백합니다. 세종실록지리지 외에도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문헌비고', '만기요람', '증보문헌비고' 등 많은 관찬 문헌에 일관되게 독도에 관해 기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