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포
기실
가스 주머니
외피
d라이브러리
"
기낭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닭은 억울하닭?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
닭의 머리는 정말 나쁠까요? 일반적으로 조류는 뇌의 용량이 작고, 뼈가 비어 있어요. 또
기낭
이라는 공기주머니를 지닌 것이 특징이지요. 모두 하늘을 날기 위해 무게를 줄이는 방향으로 진화한 결과랍니다. 닭도 조류 중 하나라 뇌 용량이 작아요.하지만 닭이 똑똑하다는 실험 결과도 많아요. 일단,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02
효과적으로 숨쉬기 위해 이 공기 주머니에 들어 있는 산소를 이용했다. 마치 오늘날 새의
기낭
처럼 말이다.하지만 공기 주머니로 채워진 뼈만으로는 거대한 몸을 하늘로 들어올리기 힘들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수많은 과학자들이 케찰코아틀루스와 같은 대형 익룡들의 몸무게를 추산했는데, 최소 20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
과학동아
l
201505
줄이는 역할을 했을 걸로 보인다. 더 진화된 작은 수각류에서는 조류와 더 유사한
기낭
시스템이 발전했을 걸로 예상된다. 진정한 시조(始祖)새는 무엇이처럼 조류를 정의하는 거의 모든 특징들이 진화한 수각류 공룡에게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됨에 따라 공룡과 새의 구분은 갈수록 모호해지고 있다.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2
기낭
이다. 공룡은 산소가 적은 중생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호흡의 효율을 높이는
기낭
을 발달시켰다. 연구팀은 이런 특징 덕분에 뼈가 점점 가벼워지면서 하늘을 날 수 있게 진화했다고 보고 있다. interview_인터뷰데이노케이루스 비밀 밝힌 이융남 박사를 만나다 우리나라 최초 공룡박사인 이융남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입구를 진동시켜서 한 호흡에 낼 수 있는 소리를 조금 더 복잡하게 만든다. 사람은
기낭
이 없는 대신 호흡을 더 정교하게 제어해 복잡한 소리를 낸다.호흡의 길이를 제어하는 능력도 사람이 더 뛰어나다. 사람은 오로지 날숨에서만 말을 한다. 평소에는 들숨과 날숨의 길이가 비슷하지만, 말을 할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03
공기를 모아두면 체중이 가벼워져 날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특히 새의 몸속에 들어 있는
기낭
은 폐와 연결돼 있어, 표면적을 넓혀 숨을 쉬는 효율도 높인다.식물 가운데 코코넛(야자)과 수련, 기생식물인 필로덴드론(Philodendron cannifolium) 등은 씨앗을 쿠션에 넣어 널리 퍼뜨린다. 어떤 씨앗은 수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11
위한 정점체공기술의 확보도 중요한 과제다. 주위 환경에 의한 온도와 압력상 승은
기낭
내부 온도의 불균형을 일으켜 부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정점 고도 이탈을 막으려면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해야만 한다. 또 비행선이 통신중계용으로 활용될 경우 정점 체공을 위한 정밀 조종 시스템은 ... ...
화학 - 봉지로 열기구 띄운다
과학동아
l
199405
감소해 기구가 위로 뜨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버너를 끄면 공기가 식고 수축하면서
기낭
안으로 들어와 전체 무게가 증가해 기구가 내려오게 되지요.기구는 위로 뜰 때와 아래로 내려올 때 심해(深海) 잠수정과는 반대로 작용하지요. 만약 기구를 타고 에베레스트 산보다 더 높은 곳을 향해 위로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10
온도가 낮고 태양빛도 지상에 비해 강렬하기 때문에 열악한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기낭
재료의 개발이 시급하다. 또 며칠마다 뜨고 내릴 수 없으므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지상 원격조절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더욱 중요한 점은 비행선이 급변하는 기상 조건 아래서 ... ...
대서양 횡단 기구(氣球)여행/더블이글호(전편)
과학동아
l
198901
기구는 프랑스 '몽골피에'형제가 1783년 '리용'시에서 실험한 것. 지름이 약 10 5m가 되는
기낭
에 짚을 태워 더워진 공기(熱空氣)를 가득 채운 것으로 약 3백m의 고도까지 올라갔다고 한다.이를 계기로 유럽에서는 기구의 연구와 제작이 활발해졌으며, 같은 해 8월에는 '샤를르'가 최초의 수소가스 기구를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