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포
기실
가스 주머니
외피
뉴스
[표지로 읽는 과학] 매의 비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공기주머니
동아사이언스
l
2024.06.22
사이에 돌출된 공기주머니가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공기주머니는 폐에 딸린
기낭
에서 뻗어나온 작은 공기주머니로 '가슴근육 밑 게실(subpectoral diverticulum·SPD)'로 불린다. 섀크너 연구원은 SPD가 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팀은 68종의 조류를 CT로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수행 장비가 실린 곤돌라가 풍선에서 분리되고,
기낭
이 찢어지며 헬륨 가스가 분출된다.
기낭
과 낙하산, 장비들이 지상 혹은 해상으로 떨어지면 이를 회수해 개조한다. 이렇기에 “민간 기상 관측용 풍선이 통제력을 잃어 실수로 미국까지 간 것”이란 중국의 주장은 명료하지 않다. 일반적인 기상 ... ...
[프리미엄 리포트] 공룡화석이 말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
2022.09.09
공룡이 심한 호흡기질환을 앓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추 안으로 확장된 공기주머니인 ‘
기낭
’에 염증이 생겨 뼈까지 손상시키면서 혹이 자라난 흔적이었다. (doi: 10.1038/s41598-022-05761-3) 오랫동안 마른기침을 쿨럭이며 고생했을 용각류의 모습에 마음이 짠해지기도 한다. 타르키아 투마노바이의 ... ...
인간 언어능력의 비밀은 후두에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2
영장류의 후두를 자기공명영상(MRI)과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조사한 결과, 인간과 달리
기낭
(공기주머니)과 성대막을 가지고 있었다. 또 수학적 모델을 적용한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해 보니 소리를 낼 때 성대에 가해지는 압력은 성대막이 있는 경우 더 낮았다. 이는 성대에 가해지는 압력이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수행 장비가 실린 곤돌라가 풍선에서 분리되고,
기낭
이 찢어지며 헬륨 가스가 분출된다.
기낭
과 낙하산, 장비들이 지상 혹은 해상으로 떨어지면 이를 회수해 개조한다. 이렇기에 “민간 기상 관측용 풍선이 통제력을 잃어 실수로 미국까지 간 것”이란 중국의 주장은 명료하지 않다. 일반적인 기상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수행 장비가 실린 곤돌라가 풍선에서 분리되고,
기낭
이 찢어지며 헬륨 가스가 분출된다.
기낭
과 낙하산, 장비들이 지상 혹은 해상으로 떨어지면 이를 회수해 개조한다. 이렇기에 “민간 기상 관측용 풍선이 통제력을 잃어 실수로 미국까지 간 것”이란 중국의 주장은 명료하지 않다. 일반적인 기상 ... ...
공룡화석이 말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공룡이 심한 호흡기질환을 앓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추 안으로 확장된 공기주머니인 ‘
기낭
’에 염증이 생겨 뼈까지 손상시키면서 혹이 자라난 흔적이었다. doi: 10.1038/s41598-022-05761-3 오랫동안 마른기침을 쿨럭이며 고생했을 용각류의 모습에 마음이 짠해지기도 한다.공룡도 우리와 같은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1호
기록 장치들을 부착하는 일은 마취를 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합니다. 펭귄은 폐와
기낭
(공기주머니)을 이용해 깊은 호흡을 하는데, 약물 주사로 마취를 하면 호흡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해요. 대신 호흡 가스를 흡입시키는 방법을 써야 하지요. 포획된 펭귄이 대피소로 도착하면, 제가 미리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기관을 절개하자 끈적한 갈색 덩어리가 눌러 붙어 기관을 반쯤 막고 있었다. 폐와 연결된
기낭
(새에게만 있는 공기주머니로 호흡을 돕는다)도 정상이 아니었다. 끈적한 덩어리를 영양배지(미생물이 잘 자라는 영양분)에 배양하여 검사해 보니, 원인체는 아스퍼질러스라는 곰팡이성 미생물이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리에게 친근한 새가 공룡일 수도 있다고?!
기사
l
20211120
이 시대를 공룡 르네상스 시대라고 부르기 시작하고 이 때 새와 공룡의 공통점이 더 발견되지요. 둘 다 이족보행을 하고
기낭
에 공기를 넣을 수 있는 점, 그리고 손목뼈를 뒤로 젖칠 수 있다는 점 등을 발견합니다. 출처: iStock 또한 골반뼈 역시 비슷하답니다. 공룡의 가장 큰 해부학적 특징 중 하나인 골반 구조이랍니다. 공룡은 ...
곤충은 어떻게 숨을 쉬는 걸까?
기사
l
20190926
군데군데가 부풀어 호흡을 편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몸을 가볍게 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이처럼 부풀어지는 부분을
기낭
이라고도 말합니다. 그러면 물 속에서 사는 곤충이 숨을 어떻게 쉬는지 알아봅시다. 물방개는 물 위로 엉덩이를 내어 놓고 배와 앞 날게 사이에 공기를 모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잠자리 유충은 커진 직장 속의 주름이 아가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