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결"(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동결방지제 : 몸을 차갑게 얼리는 과정에서 세포가 망가지지 않도록 넣어 주는 물질. 동결방지제가 다 채워지면 급속 냉동으로 영하 79℃까지 온도를 낮춰요. 며칠 뒤, 시신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영하 196℃의 액체질소 캡슐에 보관하지요. 이제 환자는 냉동 인간이 된 채로 캡슐에 ... ...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줄기를 설탕물과 체액이 섞인 액체에 담갔어요. 그러자 줄기가 녹으면서 안에 들어 있던 동결방지제가 빠지고, 수분이 다시 채워졌지요. 이렇게 녹인 줄기를 일반 식물처럼 온실에서 키운 결과, 싹이 트고 꽃을 피울 수 있었답니다. 이정윤 연구사는 “이 과정은 냉동 인간 해동 기술과 똑같다”면서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동결방지제 역할을 한 거예요. 마찬가지로 냉동 인간을 만들 때 글리세롤이나 ●DMSO같은 동결방지제를 몸에 넣어요. 그럼 세포의 어는점이 낮아져 얼음 결정이 만들어지는 걸 줄일 수 있어요. ●DMSO : 다이메틸설폭시화물(dimethyl sulfoxide)의 약자로, 식물이나 동물의 세포에 들어가 냉동과정에서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05
- 극지연) 극지고환경연구부 선임연구원은 이런 독특한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얼음의 ‘동결농축효과(Freeze concentration effect)’ 때문이라고 설명했다.흔히 얼음은 고체라고 생각하지만 현미경으로 보면 완전히 얼어붙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얼음 결정 주위에 얼지 않는 층이 있다. 마치 사람의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그때 하던 연구 어떻게 되고 있냐”며 안부를 물었다. 도마고즈 바레틱 연구원이 최근 동결전자현미경으로 특정 단백질을 인산화시키는 효소의 구조를 풀었다는 이야기를 하자, 이 연구원은 “나도 그 단백질에 관심이 있다”며 “다시 만나서 좀 더 이야기해 보자”고 말했다. 새로운 연구가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03
- 필요한 정자은행정자은행은 정자를 채취해 용기에 넣고 영하 196℃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동결시켜 보관하는 곳으로, 필요한 양만큼 녹여 인공수정에 이용할 수 있다. 정자은행을 이용하는 이유는 자신이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사람에게 기증하기 위해서다.자신이 사용하기 위한 목적은 다시 둘로 ... ...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20
- 일들이 그리울 때가 있어요.Q 매일 어떤 음식을 먹나요? 뭐가 가장 먹고 싶으세요?대부분 동결 건조된 음식에 물을 부어서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만든 뒤 먹어요. 생각보다 맛은 괜찮아요. 게다가 우리는 약간의 창의성을 발휘해 더욱 맛있는 식사를 만들고 있어요. 동료 과학자는 연구를 위해 다양한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없었거든요. 이럴 때 개미학자들은 어떻게 할까요? 정답은 동결 스프레이! 생태학자들은 동결 스프레이로 개미를 차갑게 만들어 기절시킨 다음,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나서 풀어줘요. 배에 주름은 몇 개인지, 침이나 털이 있는지 등을 관찰하면 채집한 개미가 어떤 종인지, 혹은 새로운 종일지 알 수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08
- 영하 40°C에서 빠르게 냉각시키면 유물 속의 물이 고체 상태가 되는데, 그 이후 진공동결건조기에 넣으면 목재 속의 수분이 진공상태에서 승화돼 순식간에 기체가 된다. 컵라면에 들어있는 건조 김치나 건조 계란도 이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을 쓰면 모양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1~2일이면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01
- 온도가 맞지 않거나 건조한 환경에서 지의류는 체내의 수분을 빠르게 배출해 열이나 동결 현상으로 지의체가 망가지는 것을 막는다. 스스로 반건조 상태가 돼 생명을 유지하는 ‘버티기’의 귀재인 셈이다.지의류는 심지어 우주의 가혹한 환경까지 견딘다. 유럽우주국(ESA)은 2008년 2월부터 2009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