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멸종"(으)로 총 8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도도새의 알을 빠르게 먹어 치웠어요. 즉, 도도새는 사람의 사냥과 천적의 영향으로 결국 멸종하게 됐답니다. 일리: 도도새에 관해서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다며? 도도새: 그동안 과학자들은 도도새의 생태에 관해서 거의 알지 못했어요. 그런데 최근 아프리카 케이프타운대학교 연구팀은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지구상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뿔제비갈매기는 1930년 이후 63년 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어요. 심지어 과학자들은 멸종된 것으로 추측하기도 했지요. 2000년대 이후 조금씩 발견되고 있지만, 여전히 뿔제비갈매기의 번식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에 단 5곳뿐이에요. 뿔제비갈매기가 지구상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관심을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17
- 개체 수가 늘면 천적인 오색딱따구리나 솔부엉이 등의 먹이가 풍부해져요. 그 결과 멸종 위기인 동물들이 다시 생태계로 돌아오는 계기가 될 수도 있지요. 인터뷰 “10년째 하늘소의 매력에 푹 빠져 살고 있어요”_론지코리아(이승현, 최웅, 장현규) 지난 2015년, 하늘소를 좋아하는 청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있다”고 설명했어요. 한편 전시실에는 중앙내수면연구소에서 복원에 성공한 절멸종 ‘종어’나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강 유역에만 서식하는 ‘황쏘가리’ 등 희귀종들이 수조 속에서 안전하게 지내고 있었어요. 황쏘가리가 작은 물고기를 사냥해 먹는 장면을 목격한 대원들이 다함께 탄성을 ... ...
- [현장취재➊] 수리부엉이의 집은 몇 평?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생각했는데, 서식처를 잃으며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자세라고 하니 충격이었다”며, “멸종위기종이 새로운 서식처를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는 앞으로 두 달에 한 번씩 열릴 예정이에요. 다음 강좌는 8월, ‘해양’을 주제로 열려요. 지구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잡아먹는 수중 포식자, 물장군!연구소 안쪽에는 습지가 마련돼 있었어요. 이 습지는 멸종위기 곤충 Ⅱ급인 물장군이 살고 있는 곳이지요.물장군은 물에 사는 곤충 중 가장 큰 몸집을 자랑해요. 수중 생태계의 최상위포식자로 물속에 사는 웬만한 동물들을 다 잡아먹을 수 있어요. 심지어 같은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야생 모기와 교배시켜 후손을 불임모기로 만들면, 이 불임모기들이 점점 많아져 결국 멸종에 이른다는 거예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원하는 유전자를 야생에 효과적으로 퍼뜨리는 방법을 찾는 일이 쉽지 않았어요.그러던 중 2013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조지 처치 교수팀이 이전보다 정확하게 유전자를 ...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물’이라는 뜻의 ‘야쿠’라고 이름 지었답니다.하지만 이 개구리는 발견과 동시에 멸종 위기인 것으로 밝혀졌어요. 연구를 이끈 후안 마누엘 과야사민 연구원은 “석유 추출로 인한 수질 오염과 도로 개발 때문에 이 개구리의 서식지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어요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바이오블리츠코리아는 대전에서 열릴 예정이에요. 생물의 이름을 찾아 다양성을 지키고 멸종을 막는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 참가 가능하답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내 손으로 새로운 종이나 미기록종 찾기에 도전해 보세요~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하천이 오염되면서 지금은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호종개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생겼어요. 국립생물자원관 연구팀이 미호종개의 생식줄기세포를 이용해서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거예요. 연구팀은 미호종개의 생식줄기세포를 대리모인 미꾸라지에 ... ...
12345 다음